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90209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저자 김소영 
형태사항 ⅵ, 62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윤미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중환자전문간호 전공 2016. 2
발행국 경상남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이들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Y시에 소재한 1200병상의 대학병원에서 간이식 수술 시행 후 퇴원하여 정기 추후 진료를 위해 외래에 내원한 간이식 환자 가족 중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98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9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삶의 질 간의 차이 분석은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세 변수간의 관계는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 70.4%, 환자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68.4%, 학력은 고졸 41.8%, 결혼 상태는 기혼 86.7%, 종교는 불교 56.1%, 현재 직업은 무직 43.9%, 가정의 월평균 수입은 201-300만원 25.5%, 환자의 치료비 부담은 환자 본인 부담 32.7%, 환자의 간이식 수술 후 돌본 기간은 1년에서 3년이 41.8%, 환자와의 동거유무는 함께 살고 있는 경우 85.7%, 환자의 간이식 수술방법은 사체간이식이 52%, 본인의 질병유무는 질병이 없는 경우가 74.5%로 가장 많았다.
2. 간이식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58±0.75점이었고,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7점 만점에 4.81±0.87점이었고,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은 5점 만점에 3.39±0.60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이식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는 연령(F=2.48, p=.049), 환자와의 관계(F=3.01, p=.034), 결혼상태(t=-3.03, p=.003), 환자와의 동거유무(F=2.05, p=.042), 본인의 질병유무(t=3.57, p=.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결혼상태(t=2.34, p=.021), 종교(F=3.20, p=.027), 본인의 질병유무(t=-2.83, p=.006)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은 가정의 월평균 수입(F=3.37, p=.013), 본인의 질병유무(t=-3.31, p=.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6. 간이식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음의 상관관계(r=-.59, p<.001)를 나타냈고 스트레스와 삶의 질도 음의 상관관계(r=-.68, p<.001)를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80, p<.001)를 나타냈다.
7.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사회적 지지(β=.577, p<.001), 스트레스(β=-.296, p<.001), 가정의 월평균 수입(β=.151, p=.007)이었고,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72.9%였다(F=66.25, p<.001).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간이식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간이식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심단어 : 간이식, 가족,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삶의 질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가. 결론
나. 제언


주제어
간이식, 가족,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삶의 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68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26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45
266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2665 8 환자 의사 관계 사과법(Apology Law)의 입법동향 및 관련 쟁점 /이로리 2018  244
2664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2663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2662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4
2661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266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이해 / 김종만 2012  244
2659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
265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4
2657 5 과학 기술 사회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박선화 2018  243
2656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3
265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2654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3
2653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2652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3
2651 9 보건의료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박근수 2015  243
2650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2005  243
2649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