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70016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기타서명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compli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저자 송정미
형태사항 vii, 84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오의금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2015.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상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 소재한 2000병상 이상인 A 종합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통원 치료 중인 간이식 수혜자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8월 14일부터 2014년 9월 17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로 구성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3.93점(5점 척도)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요인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물질적 지지 요인의평균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여성, 간이식 모임 참여 시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간이식 수혜자의 치료지시 이행 정도는 평균 4.32점(5점 척도)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9개의 세부 영역 중 외래 방문 영역이 가장 높았고 간이식 외과 외 다른과 진료 영역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여성, 무직, 가족이 수입원인 경우, 간이식 모임 참여 시, 수술 후 경과기간이 3년 미만에서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평균은 60.10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영영 중 가장 높은 것은 신체적 기능이었고 가장 낮은 것은 사회적 기능이었다. 대상자 특성에서 남성, 대졸 이상, 직업이 있는 경우, 이식 전 후 직업 변화가 없는 경우, 본인이 가족의 주 수입원인 경우, 가계 월 평균 수입이 300만원 이상일 경우, 간이식 모임 참여 시, 간이식 후 경과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 간이식 수술을 본인이 결정 한 경우에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치료지시 이행은 양의 상관관계(r=.458, p<.001)를 보여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결과, 가계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간 이식 경과 기간이 길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이식 후 치료지시 이행을 향상 시키고 지속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대상자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28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2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2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2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2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1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37
1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1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1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1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1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1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