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29017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on self care in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 정현정


저자 정현정
형태사항 vii, 70 p.; 26 cm.
일반주기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영주,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노인전문간호사과정) 2015.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간암 및 말기 간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간이식이 행해지고 있으며, 의학기술의 발전 및 면역억제제의 개발로 인해 이식 후 생존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간이식 환자들은 수술에서 회복한 후에도 평생에 걸쳐 면역억제제 복용, 위생관리, 정기적인 검진 및 외래 진료 등 이식 후 거부반응,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추후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를 필요로 하는 간이식 수혜자들이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 심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간호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이식 후 6개월 이상 3년 미만인 환자로 통원치료를 위해 내원한 간이식 수혜자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5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가기입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이식 수혜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 83명(82.2%)가 많았고, 연령은 평균 54.9세로 51-60세가 49명(48.5%), 61세 이상이 23명(22.8%)이었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97명(96%)이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9명(48.5%)으로 가장 많았다. 이식 전 직업이 있었던 경우는 80명(79.2%), 이식 후 직업이 없는 경우는 45명(44.6%)이었다.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의 간이식 전 진단명이 간병변증인 경우가 60명(59.4%), 간암 27명(26.7%) 순이었고, 생체 기증자가 86명(85.1%)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수술 후 6개월 이상 3년 이하인 대상자로 평균 20.62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재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명(33.7%)으로 나타났으며, 재입원 횟수는 평균 2.5회였다.
연구결과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은 자가간호 수행정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사회적 지지는 자가간호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244, 95% CI=0.095~0.703). 또한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는 나이가 많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논문개요
I. 서론
II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5
4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3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