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 의과대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01989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Optimal MR cholangiography in evaluation of hilar branching anatomy of living adult liver donors

 / 임준석



저자 임준석
형태사항 66장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Myeong-Jin Ki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Dept. of Medicine 2007.2
발행국 서울
언어 영어
출판년 2007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에 위해, 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담관 조영술 (Gd-BOPTA MRC)과 T2 강조 삼차원 자기공명담관조영술(volumetric T2-MRC)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생체부분 간이식에 특화된 적정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연구대상 및 방법:Part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D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88 간이식 후보자들이 조영증강 MRC를 시행 받았다 (Mn-DPDP MRC: n=36 과 Gd-BOPTA MRC: n=52). 질적 평가를 위해 두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MR영상을 판독하였으며 총담관, 우담관, 좌담관, 그리고 이차분지 별로 4점 척도로 점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양적 평가를 위해 Contrast to Noise비를 간실질과 총담관에서 측정하였다.Part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11명의 공여자를 대상으로 한명의 영상의학과 의사와 한명의 외과의사가 모든 MR영상을 판독하였고 그소견을 수술 소견과 수술 담도조영술과 비교하였다. 또한 두명의 다른 영상의학과 의사가 두가지 영상 조합 (기존의 T2-single section single shot RARE sequence (conventional T2-MRC)와 기존의 검사에 Gd-BOPTA MRC를 같이 판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해석에서 간문계 해부학적 변이와 그 진단신뢰도를 기록하였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본 연구는 33명의 생체부분 간이식을 위해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공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공여자는 세종류의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을 시행받았다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각각의 검사에서 담도관의 visualization score와 artifact의 정도를 기록하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Part 3와 동일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비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과 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 conventional T2-MRC와 Gd-BOPTA MRC, 그리고 모든 검사의 조합)을 판독하였고, 각각의 영상에서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와 진단 신뢰도를 기록하였다.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는 수술소견과 비교하였으며 또한 각 영상의 평균 정확도와 그 신뢰도를 비교하였다.연구결과: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Mn-DPDP MRC와 Gd-BOPTA MRC는 총담관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없는 visualization score를 보였다 (p = .380, Mann-Whitney U test). 또한 branching duct에서는 Gd-BOPTA MRC가 Mn-DPDP MRC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담관: p = 0.016, 좌담관: p = 0.014, 우측 이차분지: p = 0.006, 좌측 2차 분지, p = 0.003). 양적분석에서도, Gd-BOPTA MRC 총담관/ 간실질의 CNR (38.90±24.50) 이 Mn-DPDP MRC의 CNR(24.14±17.9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3, Student’s t test).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전향적 분석에서 두 공여자에서 담도계 병이를 확인하였고 이는 수술 소견과 일치하였으며 후향적 분석에서는 조합영상의 진단신뢰도가 conventional T2-MRC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전체 담도의 평균 visualization score 는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가 Gd-BOPTA MRC보단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의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비교에 있어서는 volumetric T2-MRC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Gd-BOPTA MRC는 다른 두검사기법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artifact를 보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조합영상간의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조합형 검사는 conventional T2-MRC만을 시행한 경우보다는 높은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를 보였다.결론: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Gd-BOPTA MRC는 담도 조영을 위한 기존의 Mn-DPDP MRC를 대체할 수 있다.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Gd-BOPTA를 이용한 자기공명 영상은 간공여 후보자의 술전 진단에 있어서 혈관과 담관의 해부학을 같이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 영상 기법이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volumetric T2-MRC는 담도계 조영에서 가장 높은 visualization score를 보이고 반면 Gd-BOPTA MRC는 가장 적은 artifact를 보인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기존의 conventional T2-MRC와 다른 두 영상기법의 조합은 생체부분간이식을 위한 공여자의 담도계 해부학의 술전 검사에서 적정 자기공명 영상기법으로 여겨 진다.


주제어
자기공명영상, 간이식, 담관, 담도조영술, 조영제, liver transplantation, bile ducts, cholangiography, magnetic resonance, contra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19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19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195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194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193 18 인체실험 GCP와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윤영란 외 2002  293
192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191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190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0
189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188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87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8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85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18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183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2015  711
182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1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180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