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93421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기타서명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before discharge and follow-up telephone consultation based on

               self-efficacy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저자 황영희
형태사항 ⅵ, 104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2013. 8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신장이식은 날로 늘어나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 치료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신장이식환자는 이식 후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면역억제제를 평생 복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감염, 악성종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이식 수술 후 지속적인 치료지시 이행이 필요하다.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왔으나, 치료지시 불이행으로 인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어서 보다 환자 중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 후 퇴원 예정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환자 각자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퇴원시 개별 교육과 추후 전화 상담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2012년 8월부터 12월 사이에 수술한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2013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수술한 환자를 실험군으로 시차를 두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험군 20명, 대조군 23명의 총 4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퇴원시 개별 교육과 퇴원 후 2주와 3주에 전화 추후관리를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입원 중 기존에 제공되어 오던 중재만을 제공하였다. 퇴원 4주 후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치료지시 이행을 측정하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및 가설 검증은 χ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 점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
 3)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치료지시 이행 총점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이식 수첩]에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이름, 용량, 검사결과를 기록해 둔다’(p<.024)와 ‘평상시 주기적으로 체중, 혈압, 체온을 측정하여 외래 방문시에 가져온다’(p<.025)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자기효능을 이용한 개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은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과 치료지시 이행 총점을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자기효능감과 약물의 이름, 용량과 검사결과를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체중, 혈압, 체온을 측정하는 능력은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된 자기효능감은 추후 치료지시 이행을 높일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료지시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국문초록 i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이론적 기틀
Ⅵ.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Ⅶ.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치료지시이행, 신장이식, 자기효능감, 개별교육, 전화상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
4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44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12
43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4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41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2
40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3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36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35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34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5
32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31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30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29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28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1
27 16 환경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김대군 2015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