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보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90467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저자 제민영
형태사항 viii, 47 p. : 삽도.
일반주기 참고문헌 : p. 36-4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보건학과 임상약학전공 2008. 8. 졸업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8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이식 후 당뇨 (Post Transplantaion Diabetes Mellitus)는 이식 이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정상 혈당 수치를 유지 하지 못하고 고혈당 상태를 유지하는 질병을 말한다. 이식 후 당뇨는 이식 거부반응을 증가시키고 감염 및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률을 높이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식 환자의 장기간 고혈당 상태를 막기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04년부터 2007년 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한 성인 환자 30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이식 후 고혈당의 발생현황과 고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 후 타 병원으로 이송된 이유로 자료가 불충분한 환자, 사망 환자 그리고 수술 이전부터 당뇨를 앓고 있던 환자를 제외한 21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식 전날부터 이식 후 6개월간의 공복 혈당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상 혈당은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제시하는 공복 혈당 126 mg/dL 이하로 정의하고, 정상 혈당이 유지되는 시점을 1개월, 3개월, 6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식 후 인슐린 또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사용 비율을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상 혈당으로 유지된 시점과 인슐린 또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 사용 현황을 종합하여 간이식 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 현황과 당뇨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이식 후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예측하기 위하여 이식 후 1개월 이내 정상 혈당으로 유지되는 환자군과 이식 후 정상 혈당으로 유지되는 데 1개월 이상 걸리는 환자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등 몇 가지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식 후 인슐린과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1개월 이내에 정상 혈당으로 회복된 환자는 64명(29.2%)이다. 이와 반대로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혈당이 조절되지 않았거나, 1개월 이내에 조절되었으나 인슐린 또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사용한 환자는 총 155명이였다.
155명을 이식 후 당뇨 발생 환자로 정의하였을 때, 이번 연구에서 이후 당뇨의 발생률은 70.8%로 분석되었다. 정상혈당으로 회복되는 시점을 살펴 보면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공복 혈당이 정상으로 유지되는 환자는 98명(44.8%)이였고, 전체 환자의 178명 (81.3%)가 6개월 이내에 정상 혈당으로 회복되었다. 이식 후 인슐린 또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 모두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107명(48.9%)이였고, 인슐린을 사용한 환자는 87명(39.7%), 인슐린 사용과 동시에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복용한 환자는 23명(10.5%)였다.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1개월 이내 혈당이 조절 된 환자 군간 그렇지 못한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인 인자는 나이, BMI, 이식 전 공복 혈당,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여부 였다. 1개월 이내 혈당 조절 된 환자군 평균 나이는 49.0(±8.5)세, 평균 BMI는21.99(±2.09) kg/㎡이고, 수술 하루 전 공복 시 혈당은104.34(±30.58) mg/dL 이였으며, 수술 이전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었던 환자 비율은 77명(78.6%)였다. 즉, 조절기간이 1개월 이상인 환자군과 비교하여 1개월 이내 혈당이 조절된 환자군은 나이가 젊고, BMI가 낮으며, 수술 전 공복 혈당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보균하고 있는 환자의 비율도 낮았다. 각 항목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법으로 위험성을 예측한 결과 BMI (Hazard Ratio 17.6, p<0.01)와 이식 전 공복 혈당(Hazard Ratio 2.57, p<0.01)이 이식 후 혈당조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장기 이식이 보편화된 치료법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만큼 이식 후 당뇨는 더욱 적극적으로 예방되고 치료되어야 할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이식 후 환자의 고혈당 상태를 예방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연구는 이식 후 고혈당 위험 환자군을 미리 예측하여 초기 적극적인 혈당 관리를 시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이식 후 당뇨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6
10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27
10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72
10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4
9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9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9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1
94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9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1
9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88
9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9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8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21
8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5
8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8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8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