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728354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heart transplantation in pediatric recipients / 장원경


저자 장원경
형태사항 vi, 26 p. : 표 ; 30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p. 22-2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2. 2
발행국 울산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연구 목적: 심장 이식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은 수술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총체적인 자율신경계의 신경 자극 전달이 단절되나 최근의 여러 연구들에 따르면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식 심장으로 자율신경이 재생됨이 관찰,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장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 비교적 비침습적이고 반복 측정 시 재현성이 좋으며 측정이 간단한 24시간 HRV holter 검사 및 심폐운동 부하검사를 통해 심박동수의 변화 양상(heart rate variability, HRV)을 관찰, 분석함으로써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식 후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의 재생 시기 및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서울 아산 병원에서 2001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소아청소년병원 소아 심장 외과에서 심장 이식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35명 중 symptom-limited bicycle ergometer를 이용한 심폐운동 부하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을 통해 대상 환아들의 기본적인 심장 이식과 관련한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심장 이식 후 추적 관찰 기간 중 심초음파검사, 24시간 HRV holter 검사 및symptom-limited bicycle ergometer를 이용한 심폐운동 부하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 자료를 통계 분석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 환자들은 전체 11 명으로 남자가 8 명, 여자가 3 명이었다. 평균 심장이식수술을 시행 받은 나이는 12.4 ± 3.8 세였고 현재 나이는 16.5 ± 4.0 세로 평균 심장 이식 수술 후 추적 관찰 기간은 44.3 ± 30.1 개월 이었다.
HRV의 여러 항목들에 대한 측정값들은 정상값과 비교시 감소되어있는 소견을 보였다. 심폐운동 부하검사 결과 %predicted 최대산소소모량(VO2), %predicted 최대 심박수, %predicted HRR(heart rate reserve)는 모두 감소되어 있는 소견을 보였다. 운동 후 회복시의 기초 심박수로의 회복은 지연되어 나타났으나 운동시 최대 심박수와 운동 후 회복기의 심박동수간의 차이(Δ heart rate recovery(hrr))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운동 시 심박수와 기초 심박수의 차이와, 운동 시 최대 심박수와 기초 심박수간의 차이(heart rate reserve, (HRR))간의 비인 %heart rate reserve 와 운동시 VO2 과 기초 VO2의 차이와 최대 VO2 과 기초 VO2 의 차이, 즉 VO2 reserve와의 비인 %VO2 reserve 변수간에는 유의한 선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심장 이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HRV 측정값들은 정상값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고 심폐운동 부하검사 시 감소된 최대 심박수의 달성, 느린 운동 후 기초 심박수로의 회복을 보여 전반적으로 자율신경계의 조절 작용이 감소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정상보다 감소된 %predicted VO2 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식 후 경과 기간 및 %predicted HRR 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HRR과 %VO2 reserve 간에는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를(r=0.792) 보여 심장 이식 후 자율신경계의 재생에 따른 심박동수 반응 조절성이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24시간 holter 검사상의 HRV 분석 및 심폐운동 부하 검사는 비교적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로서 심장 이식 환아들에서 자율신경계의 재생에 대한 추적 관찰 시 유용하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요약 i
표 목차 iv
그림목차 v
약어 목록 vi
서론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연구 결과
1)연구 대상
2) HRV
3) 심폐운동부하검사
고찰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3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62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6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6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59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5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5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56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5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54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5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이식 수술 후 발생한 만성 거부반응의 위험 인자에 대한 분석 / 조석주 2002  206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1
»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49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4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4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 및 신장이식 수술에서 병원 진료량과 진료결과의 관계 / 유태욱 2006  237
4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