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임상간호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68535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기타서명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recipient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저자 박병준
형태사항 vii, 78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신나미,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참고문헌: p 50-5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임상간호학전공 2012.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초록
심장이식은 치유가 불가능한 말기 심장질환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유일한 치료방법으로 고려되어, 확장성 심근병증 환자가 주종을 이루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관상동맥 질환 및 타 질환으로 인한 말기 심부전 환자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심장이식의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심장이식수술의 사례와 이식 후 생존율이 점차로 증가함에 따라 수혜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대처 및 이식 후 삶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혜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우울 등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심장이식수술 후의 원만한 회복과 복귀를 위해서는 환자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건강관리도 중요하지만 이런 환자를 돕는 사회적지지도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지지는 수혜자가 이식 후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수혜자의 신체·정신적 건강상태를 회복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에, 이식 후의 삶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말기 심장질환으로 심장을 이식 받은 수혜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원과 지지정도를 확인하고 이식 후 경험하는 우울 및 건강상태를 파악하며,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S대학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심장이식 수술을 받은 전수를 대상자로 하였으나, 수술 후 최소 3개월이 경과한 자들 중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는 총 3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6월 28일부터 2011년 9월 30일까지이다. 연구도구는 총 88문항으로 대상자가 작성하는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15문항, 사회적지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25문항, 우울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21문항,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12문항과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는 질병관련 특성 1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Mann-Whitney, Kruskal-Wall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혜자의 평균연령은 52.97±12.97세로 연령분포는 19세부터 74세였고, 이식 당시에는 18세에서 74세로 평균연령은 47.44±13.40세였다. 총 32명 중 29명이 남자로 대부분이 기혼자(84.4%)였으며 이식 후 대상자를 돌본 1차 간호제공자도 배우자(71.9%)가 가장 많았다. 이식 후 최단 4개월에서 최장 17년 이상 경과한 평균 68.44±75.55 개월이 지난 상태였다. 수혜자의 59.4%가 심근병증으로 이식을 받았고, 수술 전 초음파 상의 심장박출률은 평균 18.47±5.63%였으나 수술 후에는 평균 63.25±7.57%로 향상되었다. 또한 뉴욕심장협회의 등급분류에 따르면 수술 전에는 대부분(96.9%)이 중증인 3등급과 4등급에 속하였지만 이식 후에는 75%가 증상이 없는 1등급으로 향상되었다.
2) 수혜자가 보고한 사회적지지는 평균 101.72±15.39점(25점에서 125점의 가능범위)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수혜자들이 인식한 사회적지지는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가 가장 높았고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가 그 다음이었다. 수혜자가 표시한 자신에게 도움을 주는 사회적지지원의 수는 최소 2명에서 최대 16명으로 평균 5.22±3.45명이었다. 이들에게 중요하고 의미 있게 인식하는 제공원에게 가중치를 적용하였을 때 가장 많이 보고된 제공원은 배우자로, 그 뒤를 이어 의사, 아들, 어머니, 친구, 아버지, 간호사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7가지 관계 중 가족이 4, 의료진이 2,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적지지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자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t=2.831, p=.008).
 3) 수혜자가 인식하는 우울의 정도는 평균 13.63±7.46점으로 경증(mild)에 해당하는 14점에 근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건강상태는 평균 89.44±17.77점으로 무직자보다 직업이 있는 자들의 건강상태가 더 높았다(t= -1.998, p=.055).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과 건강상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사회적지지의 정도에 따른 우울과 건강상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회적지지원의 수가 6명이상인 경우 6명 미만의 경우보다 우울점수는 더 낮고 건강상태 점수는 더 높게 나타났다.
5) 사회적지지와 우울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는 우울이나 건강상태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우울과 건강상태 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r=-.605, p=.000)가 있었다. 즉,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 모집이 대학병원 한 곳에서만 이뤄졌기에 대상자 수가 적었고, 이들의 이식 후 경과 기간도 다양하였기 때문에 결과분석과 적용에 제한이 있었지만, 심장이식 수혜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의 정도와 의미 있는 제공원의 종류 및 적절한 제공원의 수를 조사한 것은 의미가 있었다. 즉, 이식 후 크게 향상한 객관적인 신체·생리적 건강지표만 아니라 이들의 회복과 복귀에 요구되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이들의 주관적인 인식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경미하거나 경한 우울을 보고한 자의 건강상태가 높지 않았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식 후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의


주제어
심장이식 수혜자, 사회적지지, 우울, 건강상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3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62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6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6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59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5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5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56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5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54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5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이식 수술 후 발생한 만성 거부반응의 위험 인자에 대한 분석 / 조석주 2002  206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1
50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4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4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 및 신장이식 수술에서 병원 진료량과 진료결과의 관계 / 유태욱 2006  237
4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