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임상간호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68535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기타서명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recipient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저자 박병준
형태사항 vii, 78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신나미,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참고문헌: p 50-5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임상간호학전공 2012.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초록
심장이식은 치유가 불가능한 말기 심장질환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유일한 치료방법으로 고려되어, 확장성 심근병증 환자가 주종을 이루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관상동맥 질환 및 타 질환으로 인한 말기 심부전 환자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심장이식의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심장이식수술의 사례와 이식 후 생존율이 점차로 증가함에 따라 수혜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대처 및 이식 후 삶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혜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우울 등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심장이식수술 후의 원만한 회복과 복귀를 위해서는 환자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건강관리도 중요하지만 이런 환자를 돕는 사회적지지도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지지는 수혜자가 이식 후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수혜자의 신체·정신적 건강상태를 회복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에, 이식 후의 삶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말기 심장질환으로 심장을 이식 받은 수혜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원과 지지정도를 확인하고 이식 후 경험하는 우울 및 건강상태를 파악하며, 사회적지지에 따른 우울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S대학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심장이식 수술을 받은 전수를 대상자로 하였으나, 수술 후 최소 3개월이 경과한 자들 중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는 총 3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6월 28일부터 2011년 9월 30일까지이다. 연구도구는 총 88문항으로 대상자가 작성하는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15문항, 사회적지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25문항, 우울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21문항,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12문항과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는 질병관련 특성 1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Mann-Whitney, Kruskal-Wall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혜자의 평균연령은 52.97±12.97세로 연령분포는 19세부터 74세였고, 이식 당시에는 18세에서 74세로 평균연령은 47.44±13.40세였다. 총 32명 중 29명이 남자로 대부분이 기혼자(84.4%)였으며 이식 후 대상자를 돌본 1차 간호제공자도 배우자(71.9%)가 가장 많았다. 이식 후 최단 4개월에서 최장 17년 이상 경과한 평균 68.44±75.55 개월이 지난 상태였다. 수혜자의 59.4%가 심근병증으로 이식을 받았고, 수술 전 초음파 상의 심장박출률은 평균 18.47±5.63%였으나 수술 후에는 평균 63.25±7.57%로 향상되었다. 또한 뉴욕심장협회의 등급분류에 따르면 수술 전에는 대부분(96.9%)이 중증인 3등급과 4등급에 속하였지만 이식 후에는 75%가 증상이 없는 1등급으로 향상되었다.
2) 수혜자가 보고한 사회적지지는 평균 101.72±15.39점(25점에서 125점의 가능범위)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수혜자들이 인식한 사회적지지는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가 가장 높았고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가 그 다음이었다. 수혜자가 표시한 자신에게 도움을 주는 사회적지지원의 수는 최소 2명에서 최대 16명으로 평균 5.22±3.45명이었다. 이들에게 중요하고 의미 있게 인식하는 제공원에게 가중치를 적용하였을 때 가장 많이 보고된 제공원은 배우자로, 그 뒤를 이어 의사, 아들, 어머니, 친구, 아버지, 간호사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7가지 관계 중 가족이 4, 의료진이 2,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적지지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자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t=2.831, p=.008).
 3) 수혜자가 인식하는 우울의 정도는 평균 13.63±7.46점으로 경증(mild)에 해당하는 14점에 근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건강상태는 평균 89.44±17.77점으로 무직자보다 직업이 있는 자들의 건강상태가 더 높았다(t= -1.998, p=.055).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과 건강상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사회적지지의 정도에 따른 우울과 건강상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회적지지원의 수가 6명이상인 경우 6명 미만의 경우보다 우울점수는 더 낮고 건강상태 점수는 더 높게 나타났다.
5) 사회적지지와 우울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는 우울이나 건강상태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우울과 건강상태 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r=-.605, p=.000)가 있었다. 즉,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 모집이 대학병원 한 곳에서만 이뤄졌기에 대상자 수가 적었고, 이들의 이식 후 경과 기간도 다양하였기 때문에 결과분석과 적용에 제한이 있었지만, 심장이식 수혜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의 정도와 의미 있는 제공원의 종류 및 적절한 제공원의 수를 조사한 것은 의미가 있었다. 즉, 이식 후 크게 향상한 객관적인 신체·생리적 건강지표만 아니라 이들의 회복과 복귀에 요구되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이들의 주관적인 인식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경미하거나 경한 우울을 보고한 자의 건강상태가 높지 않았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식 후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의


주제어
심장이식 수혜자, 사회적지지, 우울, 건강상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28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1227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1226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122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1224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12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1222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
1221 1 윤리학 변호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법적구성과 유형화를 중심으로 / 권혁종 2018  370
1220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0
121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12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1
1217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1
1216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1
1215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1214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1213 16 환경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수향, 이승하 2016  372
12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12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2
1210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72
1209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