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53690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A Clinical Review of Patients Who Underwent Renal Transplantation in China / 이태환



저자 이태환
형태사항 38 p.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성광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내과학) 2007. 2
KDC 514.255
DDC 617.95
발행국 전라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7
소장기관 군산대학교 도서관,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목적: 말기신 환자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신대체 요법은 신이식이다. 그러나 신장 공여자가 부족하여 신이식의 활성화가 제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돌아오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중국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돌아온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사이에 중국에서 신장 이식 수술을 받고 전북대학교 병원 신장내과에서 추적 진료 중인 2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소견서 및 검사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6명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7.4 (30-65)세이었고, 남자가 19명 (73%), 여자가 7명 (23%)이였다. 말기신에 이르게 된 원인 질환은 고혈압이 14명, 당뇨병이 7명, 사구체 신염이 2명, 다낭성 신증 2명, 원인 미상이 1명 이었다. 이식 수술 전 혈액투석은 20명(80%), 복막투석은 4명(20%)이었다. 투석 환자 전체의 평균 투석 기간은 20.6개월이었다. HLA 부적합 수는 평균 3.25이었고, 중국에서의 경과 관찰 기간은 평균 14.7일 (10일-22일) 이었다. 중국에서 사용된 면역억제제는 대부분 귀국 후에도 유지하였고 부분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조절하였다. 혈종이 발생한 환자가 두 명, 요 누출이 한 명, 수술창 열개 및 창상 감염이 한 명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급성 거부 반응이 두 명의 환자에서 있었고, 한 명의 환자에서 급성 세뇨관 괴사가 발생하였다. 한 명의 환자에서 새롭게 당뇨병이 진단되었다. 한 환자는 BK virus 감염이 확인되었다. 관찰 기간 동안 한 환자가 수술 후 15개월 만에 사망하였고, 나머지 환자들은 생존하고 있다.
결론: 수술이 중국에서 이루어진 관계로 수혜자 및 공여자의 HLA를 포함한 충분한 사전 정보와 자료가 불충분하고, 혈종, 요누출, 수술창 열개 등 외과적 합병증과 거부반응, 감염, 당뇨병 등 내과적 합병증에 노출되기 쉽다. 그러므로 도착 시 철저히 합병증과 이식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목차
1. Abstracts
2. 서론
3. 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 문헌
7. 요약
8. 표 및 범례


주제어
kidney, China, transplantation, 신장 이식수술, 환자의 임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19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195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194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193 18 인체실험 GCP와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윤영란 외 2002  293
192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191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190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26
189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188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87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8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4
185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18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183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2015  706
182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1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180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