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906310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llograft Coronary Artery Disease after Heart Transplantation in Korean Patients / 박경민


저자 박경민
형태사항 24 ; 26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전공 2006. 2
발행국 울산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5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배경: 심장이식 후 장기생존을 위한 가장 큰 해결 과제는 이식된 심장에서 나타나는 관상동맥질환(graft vascular disease : GVD)이다. 관상동맥 질환은 이식수술 일 년 이후 사망률의 30 % 이상을 차지하며 현재로서는 뚜렷한 예방이나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서양의 여러 보고에서는 이식 후 공여혈관 병변(donor lesion) 및 새혈관 병변(de novo lesion)의 발생이 각각 이식환자의 30∼40 %에서 발생된다고 보고하였고, 병변의 특성은 미만성 병변(diffuse lesion)이 50 %, 동심성 병변(concentric lesion)의 경우 60 % 정도로 높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심장이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후의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목적: 연속적으로 시행된 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검사를 이용하여 심장이식 후 관상동맥에서의 공여혈관 병변 및 새혈관 병변의 발생빈도와 특성을 확인하고, 이식 초기와 후기의 관상동맥 혈관면적 및 내막두께의 변화양상과 혈관재형성(vascular remodeling)의 유형에 대해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심장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이식 후 한 달 이내와 일 년 후에 연속적으로 혈관내초음파(serial intravascular ultrasound)를 시행한 58명의 환자(이식 후 초기 시행군; post-transplanted early phase group, EP group)와 이식한 지 일년이 지난 후에 초기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이로부터 일 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인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43명(이식 후 후기 시행군; post-transplanted late phase group, LP group)을 포함한 총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의 병변은 목표병변(target lesion)의 최대 내막두께가 0.5 mm 이상 측정되는 곳으로 정의하였다. 공여혈관 병변의 진단은 이식 후 첫 4주 안에 혈과내초음파가 시행된 EP 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들의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혈관 병변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식초기 혈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EP 군과 이식 후기 혈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LP 군의 혈관 및 혈관내막면적의 변화와 혈관재형성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혈관의 면적 및 내막의 두께는 혈관내초음파 소견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직접 측정하였고, 혈관재형성은 재형성 지수(remodeling index) 계산법을 이용하여 재형성의 유형을 판단하였다.
결과: EP 군의 관상동맥 내막을 관찰한 결과 이식 한달 이내에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 받은 58명의 환자들 중 17명(29 %)에서 공여혈관 병변(donor lesion)이 관찰되었고, 일 년 후의 추적 검사상 새혈관 병변은 여덟 명(14 %)에서 나타났다.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미만성 병변이 12 %, 동심성 병변이 12 % 이었고, 새혈관 병변에서는 미만성 병변과 동심성 병변이 각각 25 %, 13 % 이었다. 목표병변의 위치는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근위부(proximal) 위치에 열한 명(65 %); 중간부위(mid)에 네 명(24 %); 원위부(distal) 위치에 두 명(11 %)이었고, 새혈관 병변의 경우 근위부 위치에 여섯 명(75 %); 중간부위에 두 명(25 %)이었다.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에서의 혈관면적의 변화(18.8±4.7 mm2; 18.5±3.8 mm2, p=0.28), 죽상경화반 면적의 변화(6.4±1.3 mm2; 7.0±1.5 mm2, p=0.34) 및 내막지수의 변화(35.8±8.4 %; 38.5±8.3 %, p=0.41)는 초기 검사와 큰 차이가 없었고, 재형성 지수는 2.3±6.5으로 초기 검사와 비교해 볼 때 양성 재형성의 양상이 발견되었다. 새혈관 병변의 경우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의 혈관면적은 초기검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20.5±3.4 mm2; 18.1±3.5 mm2, p=0.07) 혈관 내강의 면적은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17.3±2.5 mm2; 11.9±3.1 mm2, p=0.001) 죽상경화반의 면적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3.2±1.6 mm2; 6.2±1.7 mm2, p=0.0006). 재형성지수의 경우 -2.5±4.9로 공여혈관 병변과는 달리 음성 재형성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EP 군과 LP 군의 비교에 있어서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에서의 죽상경화반 면적의 변화는 EP 군(1.01±1.55 mm2)이 LP 군(0.83±
1.52 mm2)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다(p=0.001). 그러나 혈관면적(EP group; LP group = -0.85±2.26 mm2; 0.67±3.05 mm2,p=0.001)및 혈관내강의 면적(EP group; LP group = -1.85±3.60 mm2; -0.16±2.44 mm2, p=0.001)에서는 EP군에서 면적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반대로 LP 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관재형성의 유형은 EP군에서 음성재형성이 관찰되었고, LP군에서는 양성재형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심장이식수술을 받은 우리나라 환자들의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빈도와 특성을 서양인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공여혈관 병변의 발생빈도는 비슷하였으나 새혈관 병변의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병변의 특성에서는 국소성 병변(focal lesion)과 편심성 병변(eccentric lesion)이 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막의 두께가 제일 두꺼운 목표병변의 위치는 공여혈관 병변과 새혈관 병변 모두 중간부 및 근위부에 주로 발생하였고, 원위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추적 검사상 혈관재형성의 양상은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양성재형성을 보였으며, 새혈관 병변에서는 음성 재형성의 양상을 보였다. EP군과 LP군의 비교에 있어서 죽상경화반의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혈관재형성의 경우 초기에는 음성재형성의 양상을 보이다가 후기에는 양성재형성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중심 단어 : 심장이식, 관상동맥 질환, 혈관내초음파

 
목차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988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3987 9 보건의료 제네릭의약품 중심 기업의 전략적 딜에 대한 연구 / 유다인 2017  84
3986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4
3985 9 보건의료 국내 임상시험 전자화 현황과 적용방안 / 왕보람 외 2013  84
398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필요 개념에 따라 규정한 불필요한 일차 의료 이용 / 이경도 2018  84
3983 14 재생산 기술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김성은 2015  84
3982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연구/여영현, 김혜정 2018  84
3981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3980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2017  84
3979 9 보건의료 의료보험체계에서 이념의 갈등과 조화 : 의료보험에서 경쟁의 억제와 유인/김나경 2009  84
3978 7 의료사회학 임상실습교육 강화의 필요성 연구 / 황보민, 박종현 2018  84
3977 19 장기 조직 이식 The Argument Against Live-donor Liver Transplantation 1996  85
3976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Immigration Justice and the Grounds for Mandatory Vaccinations 2015  85
3975 5 과학 기술 사회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 관점의 백남준 로봇 연구 / 장효진 2017  85
3974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3973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우리나라 의료관광 법적 연구의 현황과 검토 / 조형원 2017  85
3972 1 윤리학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하종수, 최희봉 2017  85
3971 9 보건의료 병원의 환자안전 현황과 과제 / 서제희 2016  85
3970 23 연구윤리 한국에서 발간되는 의학저널에서의 이해상충 명시에 대한 현황 / 강보형 2013  85
3969 1 윤리학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 추정완 2019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