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613822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저자 이철승
형태사항 ⅳ, 31 p.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경원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전공 2009. 2
발행국 대한민국
언어 영어
출판년 2009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정확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연구집단은 총 31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 25명, 여성 6명)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모두 2007년 2월과 3월에 생체 공여 간 이식 수술을 위해 간 우엽 공여수술을 본원에서 시행받았다. 두 명의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PACS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면적 합산 법을 이용해 CT 용적 측정법을 시행하였으며, (V1, V2) 이 중 한 명은 용적 측정을 두 차례 시행하였다. (V2-1, V2-2)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은 급내 상관 계수를 이용한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통해 구하였다. 예측 이식편 중량 (EW)는 1.12 g/ml의 간 밀도를 적용하고, 이식편 내 혈액용적을 제거하는 등의 두 가지 교정 요소를 적용하여 구하였다. 이식편의 실제 중량 (RW)은 수술장에서 장기적출 후에 계측되었다. V 및 EW 와 RW간의 오차와 그 백분율이 계산되었다.
결과: V1, V2-1 및 V2-2의 평균값은 756.8 ml ± 141.7, 743.6 ml ± 142.4, 732.3 ml ± 145.4였다. EW1, EW2-1 및 EW2-2의 평균값은 601.8 g ± 112.7, 591.3 g ± 113.2, and 582.3 g ± 115.6 였다. RW의 평균값은 692.3 g ± 120.7 였다. V1과 V2-1, V1과 V2-2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각각 0.985 (95% 신뢰구간, 0.969-0.993) 과 0.971 (95% 신뢰구간, 0.942-0.986) 였다. V2-1과 V2-2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0.961 (95% 신뢰구간, 0.922-0.981) 였다. RW와 비교한 V1, V2-1, V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64.5 ± 59.6 (9.6% ± 8.5), 51.3 ± 61.8 (7.6% ± 8.8), 및 39.9 ± 60.1 (5.8% ± 8.3) 였다. RW와 비교한 EW1, EW2-1, EW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90.4 ± 50.4 (-12.8% ± 6.7), -100.9 ± 52.2 (-14.4% ± 6.9) and -109.9 ± 49.1 (-15.8% ± 6.6) 였다.
결론: 간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은 높은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보이므로, 좋은 재현성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V와 RW사이, EW와 RW사이 모두 주목할만한 오차가 계산되었고, 평균적으로 V는 RW보다 8.2% 크게, EW는 RW보다 작게 14.0% 작게 측정되었다.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Tables
Figures
 

주제어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T volumetry, right lobe, graft weight,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 CT 용적측정법, 간 우엽 이식편 중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30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2011  64
430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이한주 외 2018  64
430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 오선영 2017  64
430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4
430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4303 15 유전학 포스트게놈 시대의 국내 유전체연구 현황 / 이준석 2015  64
430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43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태아감소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2018  64
4300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4299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429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429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 정대현 외 2018  64
4296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4295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4294 15 유전학 Animal Biotechnology and the Non-Identity Problem 2008  65
429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4292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5
4291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4290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4289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