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613822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저자 이철승
형태사항 ⅳ, 31 p.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경원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전공 2009. 2
발행국 대한민국
언어 영어
출판년 2009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정확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연구집단은 총 31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 25명, 여성 6명)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모두 2007년 2월과 3월에 생체 공여 간 이식 수술을 위해 간 우엽 공여수술을 본원에서 시행받았다. 두 명의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PACS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면적 합산 법을 이용해 CT 용적 측정법을 시행하였으며, (V1, V2) 이 중 한 명은 용적 측정을 두 차례 시행하였다. (V2-1, V2-2)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은 급내 상관 계수를 이용한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통해 구하였다. 예측 이식편 중량 (EW)는 1.12 g/ml의 간 밀도를 적용하고, 이식편 내 혈액용적을 제거하는 등의 두 가지 교정 요소를 적용하여 구하였다. 이식편의 실제 중량 (RW)은 수술장에서 장기적출 후에 계측되었다. V 및 EW 와 RW간의 오차와 그 백분율이 계산되었다.
결과: V1, V2-1 및 V2-2의 평균값은 756.8 ml ± 141.7, 743.6 ml ± 142.4, 732.3 ml ± 145.4였다. EW1, EW2-1 및 EW2-2의 평균값은 601.8 g ± 112.7, 591.3 g ± 113.2, and 582.3 g ± 115.6 였다. RW의 평균값은 692.3 g ± 120.7 였다. V1과 V2-1, V1과 V2-2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각각 0.985 (95% 신뢰구간, 0.969-0.993) 과 0.971 (95% 신뢰구간, 0.942-0.986) 였다. V2-1과 V2-2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0.961 (95% 신뢰구간, 0.922-0.981) 였다. RW와 비교한 V1, V2-1, V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64.5 ± 59.6 (9.6% ± 8.5), 51.3 ± 61.8 (7.6% ± 8.8), 및 39.9 ± 60.1 (5.8% ± 8.3) 였다. RW와 비교한 EW1, EW2-1, EW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90.4 ± 50.4 (-12.8% ± 6.7), -100.9 ± 52.2 (-14.4% ± 6.9) and -109.9 ± 49.1 (-15.8% ± 6.6) 였다.
결론: 간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은 높은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보이므로, 좋은 재현성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V와 RW사이, EW와 RW사이 모두 주목할만한 오차가 계산되었고, 평균적으로 V는 RW보다 8.2% 크게, EW는 RW보다 작게 14.0% 작게 측정되었다.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Tables
Figures
 

주제어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T volumetry, right lobe, graft weight,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 CT 용적측정법, 간 우엽 이식편 중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228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1227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0
122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1225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
1224 1 윤리학 변호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법적구성과 유형화를 중심으로 / 권혁종 2018  370
1223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0
1222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1221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1
12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1
1219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1
1218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1
1217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1216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121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2
1214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1213 16 환경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수향, 이승하 2016  373
12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3
1211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73
1210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1209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