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12728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Studies directed at elucidating Sterility in Korean Medicine / 양인석


저자 양인석
형태사항 53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광중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2013. 2
발행국 경상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대구한의대학교 학술정보관


초록
한의학적 불임 치료의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이를 표준화 및 객관화하여 근거중심의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불임에 관한 한의학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연구의 연도별 발표현황은 2000년부터 논문편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을 제외하고 매년 꾸준한 발표현황을 나타내고 있었다. 기관별 발표현황은 경희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11편의 석사학위논문과 13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불임유형별 발표현황은 남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25편이었고 여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8편이었으며, 2003년 이전에는 주로 여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3년부터는 남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더욱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었다. 투여 약물 및 처방별로 살펴보면,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25편이었고, 단일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8편이었다.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人蔘을 투여한 논문이 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鹿茸, 小茴香, 吳茱萸, 紫河車를 투여한 연구가 각각 1편이었다. 그리고 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논문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右歸飮과 八味地黃丸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이었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溫土毓麟湯을 투여한 논문이 2편, 加味歸脾湯, 附益地黃丸, 十全濟陰丸, 溫胞飮, 六味地黃湯, 蒼附導痰丸, 八物君子湯 加味方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다양한 약물 및 처방과 침구치료, 外治法을 활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임상적인 불임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연구의 연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5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발행학술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13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1저자 소속기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국대학교 소속이 가장 많은 4편으로 나타났다.
불임관련 임상연구 중 임상연구를 피험자 수별로 분석한 결과, 1~9명이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연구설계별로 분석한 결과, 증례보고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군연구는 6편, 전후연구는 4편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한약을 단독 투여한 논문이 1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약 및 침구부항치료를 병행한 논문이 6편, 한방요법과 기타보조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한 논문은 3편이었다. 변증유무별로 분석한 결과, 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2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변증을 시행하는 않은 논문은 6편이었고 사상체질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편이었다. IRB 승인여부별로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지 않은 논문이 18편으로 대부분이었으며,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이었다.
지금까지 한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불임관련 임상연구를 살펴보면 RCT 연구는 한편도 없었으며 또한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적 변증을 시행하지 않은 논문도 6편이 있었다. 향후 보다 계획적이고 정밀한 연구방법을 통해 근거중심에 기반한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선정 및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주제어
sterility, Korean medicine treat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08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1207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206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1205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1204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203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120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201 12 낙태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수지 2018  114
1200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1199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1198 22 동물복지 질환모델 동물의 바이오 이미징 기술 / 김보경 2018  114
1197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4
119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119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194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1193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1192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1191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1190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1189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검체사용 연구에 대한 법적 윤리적 적용 / 장윤정 외 201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