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39932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기타서명  A comparison of drug registration regulation and management system between Latin America and Korea

                :focused on Brazil and Mexico
저자 송주현
형태사항 94 p. : 삽화 ; 30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규혁
               참고문헌 : p. 89-9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4. 8
DDC 615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4
소장기관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초록
라틴아메리카는 뚜렷한 산업성장 경향 및 지속적 인구 증가를 바탕으로 높은 의약품 수요가 예측되고 있으며, 임상시험 진행에 있어서도 많은 장점을 가진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제약산업의 효율적인 라틴아메리카 제약시장 진출을 도모하기 위하여,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의약품인허가 제도 및 규제기관과 그 절차를 고찰하고,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IND),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및 신약승인신청 (New Drug Application: NDA)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제도 및 관리체계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멕시코와 브라질 및 우리나라의 의약품인허가와 관련된 법령, 논문 보고서, 학술 저널 (academic journals), 논문 (articles) 등의 문헌을 고찰하고,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의약품인허가 규제기관과 그 절차,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IND),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및 신약승인신청 (New Drug Application: NDA) 제도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신약의 범위, 허가대상에 따른 분류 및 의약품 위험도 분류 등의 영역에서 국가별 차이점이 있었다.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IND)의 전반적인 절차는 동일하나, 멕시코와 브라질이 한국에 비해 인허가 규제기관의 임상시험계획승인까지 많은 비용과 오랜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의 측면에서에도 국가별 담당 기관, 절차, 제출 자료와 소요 일정 등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멕시코와 브라질의 경우 IRB 제출 및 승인 이후에 IND 승인이 가능한 순차적 절차 (Sequential process)임에 반하여, 한국은 IRB와 IND가 동시에 진행되는 동시절차 (Parallel process)이다. 브라질은 CEP (Each site’s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와 더불어 CONEP (National Commission for Ethics in Research)을 통하여 윤리적 측면의 평가절차가 두단계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약승인신청 (New Drug Application: NDA)에서도 제출 형식, 제출자료 및 소요기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멕시코와 브라질이 한국에 비해 많은 비용과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 세 국가 모두 자국 언어로 문서가 작성되고 번역되어야 하는 제한점이 있어서, 실제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및 신약승인신청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멕시코와 브라질은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과 신약승인신청절차에서 인허가규제기관의 승인까지 소요기간 예측의 어려움과 규제기관의 의견 확인의 어려움이 난점으로 분석되었다. 해당 규제기관의 가이드라인의 명확한 검토 및 제약 산업 종사자와 허가규제기관담당자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멕시코와 브라질 허가기관의 웹페이지 대부분의 내용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되어있어, 자료조사의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멕시코와 브라질을 포함한 라틴아메리카의 인허가 규제기관 및 신약 인허가 절차 등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고, 해당 정보 간에도 차이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인허가 규제기관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연구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라틴아메리카의 규제기관 및 그 허가절차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국내 신약이 라틴아메리카 제약시장으로 진출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이론적 고찰
제3장 연구 방법 
제4장 연구 결과
제5장 고찰 및 결론
제6장 참고문헌


주제어
의약품 인허가제도, 규제기관 및 허가절차, 라틴아메리카, 멕시코 브라질, 국가 간 비교연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28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827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826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8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0
8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823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822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821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820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81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2016  491
»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1
817 16 환경 환경윤리에서 실천 문제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 김완구 2017  491
8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815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814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81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812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4
811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
810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95
809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