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42751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The Study to find the Operation Statuses and Improvement Points of IRB in Korea / 김병수


제어번호 82542751
저자명 김병수(Byung-Su KIM)
학술지명 생명윤리정책연구
권호사항 Vol.2 No.3 [2008]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1-302(1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년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배경: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이하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기관위원회의 운영현황과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정식으로 질병관리본부에 등록된 330개 기관의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전담행정인력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없었던 기관이 71개 기관이었고, 연락이 가능하였던 기관은 259개 기관이었다. 연락이 가능한 259개 기관들 중 108개 기관의 전담행정인력이 설문에 답변하여 실질응답률은 41.7%이었다.
결과: ① 기관위원회만을 전담하는 행정인력을 보유한 기관은 매우 적었고 기관위원회와 관련이 있는‘의약품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겸무하는 기관을 합치더라도 전체의 41%에 불과하였다. ② 활동도에 대해서는‘저조’에 해당하는 군이 60.94%로 매우 많았다. ③ 관련 규정의 숙지에 대해서는‘안다’에 해당하는 군이 60.18%이었다. ④ 기관위원회 개최를 년 5회 이상 시행한 경우가 31.5%에 불과하였다. ⑤ 기관위원회 자체교육이 55.6%에서 1년 동안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⑥ 심사료가 위원들에게 지급되지 않은 경우가 82.3%로 대부분이었다. ⑦ 윤리관련 외부전문가가 한 명도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2기관이었고 대부분에서 1~2명이었으며 종교계 성직자가 가장 많았다. ⑧“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각 기관 마다 꼭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49.1%이면서“독립 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의 심의, 위탁이 각 기관에게 도움이 될까?”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62.1%로 과반수 이상이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①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의 전문성의 제고: 이를 위한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의 전문성 인정과 이를 위한 제도적 교육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② 기관위원회 설치 의무기관에 대한 재검토: 특히 유전자 검사기관 및 배아생성기관의 경우 기관위원회 자체의 개념에서 보았을 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 및 배아생성 실무기관들과의 긴밀한 대화가 요망된다. ③ 기관위원회 운영을 위한 재원 확보: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 인건비, 위원 심사료 지급, 자체 교육 등을 위한 재원확보가 요망된다. 이에 기관위원회 심의료 현실화를 위한 대책(예: 국책 연구비에서의 기관위원회 심의료 비목 산정)들이 필요하다. ④ 포괄적 기관위원회의 구성: 우리나라에서는‘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의약품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의료기기 임상시험심사위원회’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기관에 주는 부담이 크다. 이에 인체 및 관련 시료에 적용되는 연구의 심의를 아우르는 원칙적 기관위원회가 구성이 되고 그 속에 세부전문 분야에 따라 심의가 이루어지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는 기관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기관위원회 운영을 가능케 하는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요약


주제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기관위원회 전담행정인력(IRB administrative personnel)  ,기관위원회 재원(IRB financial resources)  ,포괄적 기관위원회(Comprehensive IRB). 기관위원회 활성화(IRB revitaliz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39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38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8
37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36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35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2015  242
34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3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32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31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3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9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28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
27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3
2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5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23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2014  202
22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1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