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건국의과학학술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0110978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학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Medical Ethics Committee) = For Foundation of Infrastructure for Clinical Study in Konkuk Medical College / 배진우


제어번호 30110978
저자명 배진우
학술지명 건국의과학학술지(The Kon-Kuk Journal of Medical Sciences)
권호사항 Vol.13 No.- [2003] 
발행처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Kon-Kuk Universi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년
KDC 510.000
소장기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Clinical study is undoubtedly essential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ll proposals for clinical study should be submitted to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for scientific and ethical review. IRB is the fulfillment of the governments obligation to establish an institution of clinical study. Thus, some important factor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RB were introduced in this manuscript to reiterate the importance of IRB among faculty members.
 While each hospital usually establishes its own IRB, it will probably be better to establish one IRB at Konkuk University Clinic to do away with manpower and financial burdens. IRB should consist of more than five persons including a physician, a statistician, a scientist, a lawyer, and a non-medical expert. Likewise, there should also be at least one female member.
 In addition, IRB should prepare several forms including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SOP), application forms, informed consent, and their exemplar. The SOP of IRB should consider the regulations of IRB particularly on membership, conference, finance, review procedures, etc. IRB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study is scientific and ethical, given that unscientific study is also unethical. The quality of investigator and facilities, control group, informed consent, and recruitment of subjects should also be reviewed. In particular, informed consent is very important in the review of ethicality. It should be comprehensible; subjects should be well informed of the risks and benefits. Participation in and withdrawal from the study should also be unrestrictive and also do not influ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doctor and patient


주제어
Clinical study  ,good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al review board  ,medical ethics committe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88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448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7
448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4485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32
448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1
4483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4482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2
44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의 정당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화성 2009  1322
4480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
4479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44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4
4477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44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0
4475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447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4473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44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5
4471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0
44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44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