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대학원 일반행정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7722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 Establishment of Joint Institutional Review Board(Joint IRB) and Cooperative Governance in Early Stage Operation - Case of Joint IRB in Daegu - / 김향미


저자 김향미
형태사항 iv, 109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희경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대학원 일반행정 2015. 8
DDC 352 23
발행국 대구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Daegu city plans and implem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int IRB' as part of project to activate the clinical test in the region.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joint IRB, the power and ability of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s should be concentrated. The processes to include the interested party in the region and to agree the strategy and method to establish and operate joint IRB through collective meeting are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se processes are similar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governance might present an important theoretical frame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joint IRB i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theoretical compositional elements are generated and worked in actual cases, using a particular model of analysis of cooperative governance. This research tried to draw the suggestion of the way of establishing the actual cooperative governance to establish the joint IRB in normative terms, and to draw out an implication of policy to activa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oint IRB.


목차
Ⅰ. 서 론
Ⅱ. 협력 거버넌스의 이론적 배경
Ⅲ. IRB의 의의와 실태
Ⅳ. 사례분석
Ⅴ. 결 론


주제어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 공동IRB, 협력 거버넌스, 대구공동IRB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08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1207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206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1205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1204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203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120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201 12 낙태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수지 2018  114
1200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1199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1198 22 동물복지 질환모델 동물의 바이오 이미징 기술 / 김보경 2018  114
1197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4
119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119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194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1193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1192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1191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1190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1189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검체사용 연구에 대한 법적 윤리적 적용 / 장윤정 외 201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