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개혁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03553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Criticism on Gene Manipulation and Anthropozentrismus in the Age of Biotechnology / 김광연


제어번호 101903553
저자명 김광연 ( Gwangyeon Kim ) 
학술지명 한국개혁신학
권호사항 Vol.50 No.- [2016] 
발행처 한국개혁신학회 
발행처 URL http://www.reformedth.com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40(33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기독교 윤리에서 ‘자연’은 ‘있는 그대로’의 원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성서에서는 “자연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한 이후, 어떤 인위적인 조작이나 훼손 없이 ‘있는 그대로’의 보존 상태”라고 가르친다. 하지만 근대 이후, 과학 기술의 발달로 자연이 인간의 이기심에 짓밟히고 심지어자연 상태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는 인간의 지나친 욕심에서 비롯되어 결국 인간 스스로가 자연생태의 주인이 되고 싶어 하는 속내를 드러내고 말았다. 인간의 ‘프로메테우스적 욕망’은 결국 생명공학 기술과 하나 되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생명공학 기술은 자연을 ‘원래’의 상태에서 인간 중심적인 형태로 조작하는 것은 물론 인간 생명까지도 목적 그 자체가 아니라 수단으로 삼고 있다. 특히 가장 염려스러운 것은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복제 실험이다. 현재 생명공학 기술은 GMO 식품, 유전자 조작, 맞춤아기, 배아편집 기술 심지어 인간복제 기술까지 시도하고 있다. 이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통해 자연본성 길들이기 및 종의 다양성까지 파괴하는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러한 실험들은 성서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통윤리학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이다. 이 글은 기존의 ‘자연적인 것’에서 발견되는 가치들을 성서의 가르침에서 찾아내고, 미래 생명공학 기술이 가진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유전자 조작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끝으로 성서 속에 나타난 창조질서 및 자연중심성의 회복과 생명공학 시대에 요청되는 생태신학의 필요성을 요청할 것이다.


주제어
자연  , 인간중심주의  , 배아복제  , 맞춤아기  , 배아편집 기술  , 인간존 엄성  , Nature  , Anthropozentrismus  , Embryo Cloning  , Designer Baby  , Embryo Gene Editing  , Human Dign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 2 생명윤리 규제에서 소통으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변화에 관한 제언 / 이일학 2017  41
67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66 10 성/젠더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김경희, 송리라 2016  41
65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64 9 보건의료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 송영민 2010  40
63 9 보건의료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통계 생산 과제 /신정우 2017  39
62 15 유전학 유전체 분석 초기 단계에서 유전자 리스트 작성을 위한 방법론 / 오정수 외 2003  39
61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대법원 2005. 6. 24. 선고 2005다16713 판 / 이재열 2009  39
60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2014  39
59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58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57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56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55 22 동물복지 동물유전체 빅데이터 공개로 민관협업체계 조성 및 산업 활성화 / 임다정 2018  38
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53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5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 이동우 2014  38
51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50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49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