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신학과 실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78666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제어번호 101878666
저자명 권혁남
학술지명 신학과 실천
권호사항 Vol.49 No.- [2016] 
발행처 한국실천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61-682(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의학과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인간의 생명에 대한 기술적인 취급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현대사회는 인간 생명의 전 과정, 즉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기존에는 경험해 보지 못했던 다양한 윤리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생명문제에 관한 윤리적 판단에서는 필연적으로 생명 그 자체에 관한 이해를 전제로 하며 생명윤리의 진리 문제는 결국 생명에 대한 신학의 진리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독교 신학과 윤리는 ‘생명과 인간의 삶’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고 있는가?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대하며 회피할 수 없는 생명과학 기술의 진보와 그로인해 파생되는 윤리적 판단의 문제에 대해 기독교윤리는 어떻게 관여해 갈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물음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생명이해와 그를 토대로 생명윤리의 기본문제에 접근하는 기독교 윤리적 접근 방법과 그 원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기독교적 생명윤리에 있어서 윤리적 판단의 독자적인 원리는 ‘생명의 주’ 라는 개념(사도행전 3장 15절) 속에 제시되어있다.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시며 또한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이시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상의 죽음 사건을 통해 죽음을 삼위일체의 자신 속으로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하여 그리스도로 하여금 생명의 창조적인 힘으로 죽음을 극복하였다. 이렇듯 하나님은 생명을 구원하고 또한 완성하신다. 즉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자 생명의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로서 ‘삶을 사랑하는 본성’(bio-philas)을 지니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기독교 생명윤리는 이에 근거하여 ‘생명을 사랑’(biophilia)하는 윤리여야 한다. 달리 말하면 생명에 관하여 윤리적 판단에 관한 물음이 발생할 때 판단과 그에 따른 행위의 원리는 ‘생명사랑’에 근거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확장으로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로서 ‘생명을 사랑하는 힘’(bio-philas)이 작동되는 장(場)이 되어야 하며, 또한 사회가 ‘생명사랑’(biophilia)으로 충만한 사회가 되도록 우리는 봉사해야 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 생명윤리: 생명의 신학적 이해
III. 기독교적 가치와의 충돌: 공리주의
IV. 기독교 생명윤리적 판단과 과학기술시대의 도전
V. 기독교 생명윤리적 판단의 원리 확립
VI. 나가는 말


주제어
기독교 생명윤리  , 생명의 주  , 청지기  , 하나님의 형상  , 낙태  , Christian bioethics  , the author of life  , steward  , image of God  , abor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08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0
507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506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4
505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504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5
50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502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6
501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6
500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47
499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49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수혈거부와 자기결정권의 한계/원형식 2016  649
»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496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49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2008  650
49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493 15 유전학 우생학에 대한 생명윤리의 과제 / 이종원 2006  653
492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49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2015  654
490 18 인체실험 기능성식품 인체적용시험 제도 비교 / 김주희, 김지연, 원혜숙, 권혜진, 권혜영, 정혜인, 권오란 2010  659
489 14 재생산 기술 조기 태아성별 확인법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구인회 2013  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