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韓國學校保健學會誌(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14593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제어번호 100814593
저자명 문미영  
학술지명 韓國學校保健學會誌(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권호사항 Vol.28 No.2 [2015] 
발행처 한국학교보건학회(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38(1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Bioethics  , Bullying  , Students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ully/victim experiences and bioethics of 5th and 6th graders. Participants were 3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th to 30th October, 2014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d Scheffé post-hoc analysis by SPSS 18.0. Results: First, in regard to bioethics, significant factors were liking for growing plants (p<.001), emotions after killing insects (p<.001) and the number of friends (p=.003). In regard to bullying experiences, significant factors were gender (p=.021), religion (p=.026),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p=.019), liking for growing plants (p=.009), insect killing experience (p=.009). The bioethics score of the victim group (2.70 point) were higher than the bully group (2.49 point).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victim experiences and bioethics was negative. The factors affecting bioethics were liking for growing plants (β=-.159, p=.004), the number of friends (β=.124, p=.030), experiences of being bullied (β=.352, p<.001), emotions after killing insects (β=-.135, p=.011). Conclus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rich learning content and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bioethics. Efficient bioethics program would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higher bioethics awareness. The entire society and families should wake up to the evil effects of school bullying and make concerted efforts to root it out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윤리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의 하부영역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따돌림의 가해와 피해경험
4. 대상자의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른 생명윤리의식
5. 대상자의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 경험과 생명윤리의식간의 상관관계
6.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
23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8
2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1
21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2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19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1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2
1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15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 이은하 2016  228
14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
»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2015  336
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2015  209
11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1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1
9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8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7
7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