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81285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저자 배주영

형태사항 125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태영숙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DDC 610.73069 21

발행국 부산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임상간호사", "동료", "갈등극복", "근거이론"

소장기관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초록
임상간호사가 간호업무를 수행하면서 갈등을 겪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간호업무의 특성 상 불편한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중단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갈등은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업무수행을 방해하고 결국은 직무불만족, 결근과 이직을 초래케 하며, 이 갈등은 간호사 이직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업무에서의 동료 간 갈등은 간호사 자신뿐만 아니라 환자 간호에도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므로 임상 현장에 알맞은 갈등극복 전략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임상간호사의 갈등극복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역동적인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여 간호사 이직을 막고 간호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B시와 K도에 소재한 300병상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자로 갈등극복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1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6월 29일부터 동년 11월 6일까지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실시하였으며, 면대면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Corbin과 Strauss(2008)의 분석방법에 의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총 65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임상실무에서 간호사 동료 간 갈등극복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관계의 수렁에서 헤쳐나오기’였다. 이 갈등극복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수렁으로 미는 동료’, ‘힘에 겨운 업무’였고, 중심현상은 ‘관계의 수렁에서 허우적거림’이었다. 이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업무성향’와 ‘근무환경의 여건’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을 다루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으로는 ‘회피적으로 반응하기’, ‘감정 표출하기’, ‘마음 추스르기’, ‘변화의 계기 찾기’, ‘업무 재조정하기’, ‘관계 재조정하기’이었고,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조건으로는 ‘버팀목이 된 지지 자원’와 ‘축적된 경험 자원’이었다. 그 결과 ‘자존감 회복하기’, ‘한걸음 더 성숙해지기’, ‘어쩔 수 없는 머무르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의 수렁에서 헤쳐나오기’는 ‘혼돈기’, ‘초기조정기’, ‘조정심화기’, ‘극복기’라는 단계로 설명되었다. 핵심범주인 ‘관계의 수렁에서 헤쳐나오기’의 유형은 맥락적 조건인 업무성향과 중심현상인 관계의 수렁에서 허우적거림 정도를 조합하여 변화노력형, 상황순종형, 상황지배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 극복과정은 어둡고 무거운 관계의 수렁에서 허우적거리며 벗어나고자 갈등과 극복의 연속선상에서 내적으로 심한 혼란을 겪지만 다양한 전략을 시도함으로써 그 과정 속에서 마음을 추스르고 관점을 바꾸어 나가면서 동료와의 관계와 업무를 조정하며 관계의 수렁에서 헤쳐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로 임상간호사들이 어떻게 동료와의 갈등을 극복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였으며, 동시에 임상 간호사를 위한 갈등 극복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48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1147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8
    1146 12 낙태 피임과 낙태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8  388
    1145 18 인체실험 웹 기반의 E-IRB를 활용한 IRB 행정업무 지원시스템 프레임워크 제시 / 황성진, 김한웅, 박범 2013  389
    1144 18 인체실험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품청의 규제 법령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0  389
    114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89
    1142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1141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와 연구윤리 / 김종빈 2014  390
    114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확보해야 하는 동의의 수준에 따른 동의 획득 절차의 구분 / 배현아 2011  390
    11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113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90
    1137 22 동물복지 동물관련 법제의 입법과정에 관한 일고찰: 지각적 존재(sentient beings)와 업(業, karma)을 기준으로/조원용 2016  390
    1136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113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법적 과제 / 손영화 2016  390
    1134 10 성/젠더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성용 2017  391
    113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1132 4 보건의료 철학 성형외과 상담실장의 역할과 그 의료윤리적 함의에 대한 민족지 연구/임소연 2015  392
    1131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2
    113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개발 전략 및 임상화 과정 / 조명수 외 2012  393
    11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