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1559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저자 고미숙

형태사항 iii, 107 p. : 천연색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경숙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중환자실 간호사, 심리적 외상, 현상학적 방법, 질적연구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독한 환자를 관리하는 매우 복잡하고 긴장감이 넘치는 임상현장으로 업무와 관련된 갑작스럽고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사고와 사건들이 수시로 발생하는 현장이다. 이런 사고와 사건은 개인의 효과적인 대처 능력을 넘어설 경우 심리적 스트레스를 초래하며 심리적 외상(psychological trauma)으로 이어져 급성 스트레스 장애를 포함하는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문제 등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하지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외상 사건을 중환자실 간호사의 관점에서 탐색한 국내연구는 부족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 체험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있어야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돕기 위한 배려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체험하는 심리적 외상의 본질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 4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목적적 표본추출(purposive sampling)에 의하여 선정된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비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면담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필사한 후 van Manen(1997)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억눌린 억울함이 표출됨’, ‘내재된 두려움으로 위축됨’, ‘체념한 상태에서 억압함’, ‘자기반추를 통해 수용함’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갑자기 직면한 충격에 몸과 마음이 완전히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는다. 견뎌낼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몸과 마음의 격렬한 반응으로 업무에 지장이 생기지만 스스로 조절하기가 어렵다. 원망과 미움, 억울한 감정이 치밀어 오를 때마다 억눌러보지만 이내 분노와 화로 분출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점차 행동이나 성격이 거칠게 변해갔다.
심리적 외상의 충격 앞에서 두려움과 불안함, 심한 죄책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인간관계나 일상생활이 예전과 달리 냉담해지거나 위축된 모습을 보인다.
서비스 마인드가 강조되는 현재의 의료 시스템 속에서 참여자들은 환자, 보호자, 의사의 언어 및 신체적 폭력을 참고 감수해야하는 어쩔 수 없는 일로 체념하며 견디고 있다. 이로 인해 직업에 대한 회의감이나 자존감의 상실을 경험하며 사직을 고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의미 있는 사람들의 공감 속에서 위로와 지지를 받으면서, 심리적 외상의 체험을 온전히 드러내고 부정적인 감정을 발산시킨다. 자기 자신과 외상사건을 스스로 되돌아보는 자기반추를 통하여 이미 벌어진 상황을 사실로 인정하고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처를 준 상대일지라도 진심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아량과 연민의 마음을 갖게 된다. 심리적 외상 체험을 단지 불편하고 힘들고 고통스러운 경험으로만 여기지 않고, 마인드와 태도가 변화되고 조금씩 성장하는 기회로 수용해 나간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 체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심리적 안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을 실제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소진이나 사직으로 인한 간호 인력의 손실과 중환자 간호의 질 악화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2
9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9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8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87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86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85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19
84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83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8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81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8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7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1
7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
76 4 보건의료 철학 심폐소생술금지와 관련된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조사 및 비교 / 성수영 2015  317
7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29
7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