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408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저자 김애리

형태사항 6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윤태영
             참고문헌 : p. 34-3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병원행정전공 2016. 2

DDC 351-E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연명치료, 심폐소생술금지. 사전의료의향서

소장기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우리 사회는 개인의 알권리를 존중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는 사뭇 다른환경으로 말기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되었다. 또한 가족을 공동운명체로 여기는 유교주의 문화에서 환자의 생명에 관해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인 가족의 결정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동양의 전통 효 사상이 연명치료 거부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유발 시켰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최근 연명치료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의료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가 모든 병원에 적용되고 있지 않으며 사전의료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없고 연명치료 중단은 현행법상 불법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연명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저출산 및 비혼자의 증가로 가족 관계의 단순화가 나타나는 현실에서 연명치료 결정을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와 윤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법제화의 필요성과 도입 및 시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를 탐구하고, 국내 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것에 기반 하여 사전 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사전의료의향서 도입 및 법제 관련 국내외 현황 및 그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1. 연구계기 1
  • 2. 연구문제 및 연구목적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1. 연명치료 관련 쟁점 5
  • 2. 연명치료 관련 법제 7
  • 가. 국외 법제 7
  • 나. 국내 법제 11
  • 다. 연명치료 관련 법제 논의 14
  • 제3장 사전의료의향서 윤리적 근거 16
  • 1. 환자 자율성 존중 16
  • 2. 환자 이익(선)의 증진 18
  • 제4장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DNR)현황 20
  • 1. 사전의료의향서 개념 및 도입배경 20
  • 2. 사전의료의향서 현황 분석 23
  • 3. 국내 심폐소생술 금지요청서(DNR)현황 30
  • 제5장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3
  • 참고문헌 34
  • ABSTRACT 38
  • 부 록 40
  • 부록 1 사전의료의향서 양식 40
  • 부록 2 중환자실 입실 동의서 양식 55
  • 부록 3 심폐소생술 금지 요청서 양식 5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48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0
    384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2016  490
    38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38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0
    3844 16 환경 환경윤리에서 실천 문제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 김완구 2017  489
    3843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842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384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3840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7
    3839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383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3837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3836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383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383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83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3832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383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382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