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44149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저자 이선미

형태사항 vi, 88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5. 2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삽입형 제세동기, 적응 경험, 질적 연구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서 삽입형 제세동기(ICD)환자의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의 적응 경험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고, 적응하는 과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내의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 병원에서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후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참여자 18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로 대상자의 집으로 직접 찾아가거나, 병원 내 인공심박동기 검사실에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시간은 최소 25분에서 최대 1시간 반 가량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모두 필사 되었고, Hsieh와 Shannon (2005)의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제 1주제“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은 연구참여자들이 몸의 이상신호를 발견하고, 진단 받기 전의 안 좋았던 생활습관을 반추하며, 의식을 잃고 쓰러진 실신의 경험을 진술하였다.
제 2주제“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은 병원에서 의사로부터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권유 받게 되어 시술이 진행된 과정이다.
제 3주제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에서는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직후의 경험을 설명한다. 돌출되어 있는 기계로 인한 괴로움으로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하였고, 안전벨트와 가방을 멜 때 불편하기만 한 쇳덩어리를 참여자들은 제거하고 싶다고 하였다.
제 4주제“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은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참여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또다시 쓰러져 의식을 잃고 죽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환자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에 자신감을 상실하였다.
제 5주제는“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에 관한 것이다. 치명적인 부정맥을 감지한 제세동기의 전기충격으로, 참여자들의 심장은 다시 뛰게 된다는 점에 고마운 존재이지만, 깜짝 놀라게 해주는 두려운 존재이기도 하였다. 또한 몇몇 참여자들은 전기충격이 올 때마다 새롭게 주어진 또 하나의 심장을 기억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제 6주제“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삽입형 제세동기와 함께 살아가야만 하는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결정하고 적응하는 모든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유대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있었고, 이는 한국의 가족주의적인 특성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직장에서 심각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픈 사람으로 인식되고, 부담스러운 일원으로 여겨졌다. 또한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비용과 7-8년 마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반복되는 수술에 대한 비용은 참여자들에게 부담이 되었다. 생명과 직결되는 제세동기에 대해, 참여자들은 제세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확인이 어려웠고, 참여자들의 눈에 비친 의료진들은 제세동기 기계의 오작동 여부, 배터리 소진 여부 등 기계의 수치에만 관심을 갖고 기계 중심의 치료를 하고 있다고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환자의 적응 경험을 알아보는 연구로, 연구 결과는 환자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에서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적응 과정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어려움 등을 이해 할 수 있고, 제세동기 삽입 환자를 위한 간호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II. 문헌고찰 5
  • 1. 삽입형 제세동기(ICD) 5
  • 2. 삽입형 제세동기와 관련된 적응 경험 8
  • 3. 질적 주제분석 방법 12
  • III. 연구 방법 14
  • 1. 연구 설계 14
  • 2. 연구 대상 14
  • 3. 자료수집 절차 15
  • 4. 자료 분석 16
  • 5. 윤리적 고려 17
  • 6. 연구 결과의 질 확보 1
  • IV. 연구 결과 20
  • 1. 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 27
  • 2. 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 31
  • 3.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 37
  • 4. 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 44
  • 5. 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 47
  • 6. 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 50
  • V. 논 의 64
  • 1.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의 적응 경험 64
  • 2. 연구의 제한점 71
  • 3. 간호학적 의의 72
  • VI.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5
  • 부록 83
  • Abstract 8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5
    107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106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
    105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7
    104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10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7
    »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101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7
    100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0
    99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699
    98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2008  691
    97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간호연구의 생명윤리의식 측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 최미선 2019  670
    96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95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9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47
    93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92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2013  628
    9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5
    9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89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