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44149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저자 이선미

형태사항 vi, 88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5. 2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삽입형 제세동기, 적응 경험, 질적 연구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서 삽입형 제세동기(ICD)환자의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의 적응 경험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고, 적응하는 과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내의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 병원에서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후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참여자 18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로 대상자의 집으로 직접 찾아가거나, 병원 내 인공심박동기 검사실에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시간은 최소 25분에서 최대 1시간 반 가량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모두 필사 되었고, Hsieh와 Shannon (2005)의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제 1주제“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은 연구참여자들이 몸의 이상신호를 발견하고, 진단 받기 전의 안 좋았던 생활습관을 반추하며, 의식을 잃고 쓰러진 실신의 경험을 진술하였다.
제 2주제“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은 병원에서 의사로부터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권유 받게 되어 시술이 진행된 과정이다.
제 3주제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에서는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직후의 경험을 설명한다. 돌출되어 있는 기계로 인한 괴로움으로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하였고, 안전벨트와 가방을 멜 때 불편하기만 한 쇳덩어리를 참여자들은 제거하고 싶다고 하였다.
제 4주제“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은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참여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또다시 쓰러져 의식을 잃고 죽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환자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에 자신감을 상실하였다.
제 5주제는“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에 관한 것이다. 치명적인 부정맥을 감지한 제세동기의 전기충격으로, 참여자들의 심장은 다시 뛰게 된다는 점에 고마운 존재이지만, 깜짝 놀라게 해주는 두려운 존재이기도 하였다. 또한 몇몇 참여자들은 전기충격이 올 때마다 새롭게 주어진 또 하나의 심장을 기억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제 6주제“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삽입형 제세동기와 함께 살아가야만 하는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결정하고 적응하는 모든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유대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있었고, 이는 한국의 가족주의적인 특성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직장에서 심각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픈 사람으로 인식되고, 부담스러운 일원으로 여겨졌다. 또한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비용과 7-8년 마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반복되는 수술에 대한 비용은 참여자들에게 부담이 되었다. 생명과 직결되는 제세동기에 대해, 참여자들은 제세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확인이 어려웠고, 참여자들의 눈에 비친 의료진들은 제세동기 기계의 오작동 여부, 배터리 소진 여부 등 기계의 수치에만 관심을 갖고 기계 중심의 치료를 하고 있다고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환자의 적응 경험을 알아보는 연구로, 연구 결과는 환자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에서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적응 과정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어려움 등을 이해 할 수 있고, 제세동기 삽입 환자를 위한 간호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II. 문헌고찰 5
  • 1. 삽입형 제세동기(ICD) 5
  • 2. 삽입형 제세동기와 관련된 적응 경험 8
  • 3. 질적 주제분석 방법 12
  • III. 연구 방법 14
  • 1. 연구 설계 14
  • 2. 연구 대상 14
  • 3. 자료수집 절차 15
  • 4. 자료 분석 16
  • 5. 윤리적 고려 17
  • 6. 연구 결과의 질 확보 1
  • IV. 연구 결과 20
  • 1. 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 27
  • 2. 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 31
  • 3.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 37
  • 4. 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 44
  • 5. 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 47
  • 6. 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 50
  • V. 논 의 64
  • 1.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의 적응 경험 64
  • 2. 연구의 제한점 71
  • 3. 간호학적 의의 72
  • VI.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5
  • 부록 83
  • Abstract 8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7
    207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9
    206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5
    205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41
    20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4
    203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202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사형수의 장기이식 현황 / 안상희 2012  1247
    20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와 환자안전법에 대한 고찰 / 성은정 2015  1247
    2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198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0
    19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5
    196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19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19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2
    192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1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4
    190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189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