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07646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저자 최은아 

형태사항 ix, 101 L.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창국
              참고문헌: p. 89-9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평생교육전공 2015.2

DDC 374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여성들은 임신, 출산, 양육활동을 통한 모성 형성 과정에서 새로운 생명에 대한 기대와 함께, 심리적, 육체적, 외부 환경적 변화로 인한 부적응, 사회적 관계의 제약, 가족갈등, 편견 등 정서적, 육체적,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모성 형성 과정은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유는 여성들은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신의 삶의 맥락과 관련지어 학습의 목적과 의미를 부여하고, 그 목적과 의미 실현에 필요한 학습 자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탐색하며,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 방법을 취하여 모성적 행위를 실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느끼고 반성하며 자신의 인식이나 태도 등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여성들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 맥락들과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인식이 전환되는지 살펴보고자 여성들이 실제 겪은 경험적 자료를 근거로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입각하여 여성들의 모성 경험에서의 학습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체계화하고자 근거이론에 의한 접근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76개의 개념과 22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축 코딩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의 결과 모성 형성 과정에서의 모성 인식 전환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여성에서 엄마로 이행과 아이 양육에 따른 욕구 좌절과 양육 스트레스’이었고, 그 경험을 통해 나타난 현상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에 따른 혼돈 경험’으로 엄마인 자신에 대한 자괴감, 죄책감, 불안감, 위협감, 우울감과 여성인 자신에 대한 낮아진 자아 정체감, 좌절감, 공허감, 방황감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정체감의 형성이었다. 중심 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무비판적으로 모성이데올로기 수용함으로써 좋은 엄마역할 수행에 대한 실제 경험과의 긴장과 모순’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엄마에 대한 긍정적 가치 부여’, ‘대안의 탐색’, ‘양육을 위한 지지체계 형성’이였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 상호작용 전략은 ‘나에 대한 총체적 성찰’, ‘자신만의 엄마역할 구축’, ‘관계 구축하기’였고, 그 결과는 정체성의 재구성, 도덕성. 사회성. 관계지향성의 증가, 가치. 인식의 변화를 일으킨 개인적 변화’와 ‘삶의 영역이 확대되는 사회적 변화’로 나타났으며, 여성들은 일치형, 불일치형, 분리형으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자신만의 모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여성들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의 인식전환 단계는 ‘모성이데올로기의 무비판적 수용에 따른 긴장과 모순에 대한 혼돈 경험’을 거쳐, ‘나에 대한 총체적 성찰’이후, ‘대안 탐색 및 선택적 모성 행위 계획’하고, ‘개인적. 사회적 변화’와, ‘자신만의 모성 형성’이 되는 5단계로 나타났다. 
 

목차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5
  • II. 이론적 배경 = 7
  • 1. 모성론과 모성이데올로기 = 7
  • 1) 모성에 관한 다양한 관점들 = 7
  • 2) 모성이데올로기와 모성 연구방향 = 10
  • 3) 모성과 평생교육 = 12
  • 2. 전환학습 = 13
  • 1) 전환학습의 개념과 의미 = 14
  • 2) 전환학습의 원리와 과정 = 15
  • (1) 혼란스러운 딜레마의 경험 = 21
  • (2) 비판적 성찰 = 22
  • (3) 이성적 담화 = 23
  • III. 연구방법 = 24
  • 1. 연구방법의 선택 및 절차 = 24
  • 1) 연구방법의 선택 = 24
  • 2) 연구 절차 = 25
  • 2. 연구 참여자 선정 및 특성 = 26
  • 1) 연구 참여자 선정 = 26
  • 2) 연구 참여자 인적사항 = 27
  • 3) 연구 참여자 소개 = 28
  • 3. 연구자료 수집 및 유형 = 30
  • 4. 연구자료 분석 및 해석 = 32
  • 5. 윤리적 문제 및 연구의 제한점 = 34
  •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5
  • 1. 개방코딩: 근거자료 분석에 의한 개념 및 개념의 범주화 = 35
  • 1) 여성에서 엄마로 이행 = 38
  • 2) 아이 양육에 따른 욕구 좌절과 양육 스트레스 = 44
  • 3)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형성에 따른 혼돈 경험 = 46
  • 4) 사회. 문화적으로 강요된 모성이데올로기 = 50
  • 5) 엄마역할에 대해 긍정적 가치부여 = 51
  • 6) 대안의 탐색 = 53
  • 7) 양육을 위한 지지체계 형성 = 55
  • 8) 나와 엄마에 대한 총체적 성찰 = 57
  • 9) 자신만의 엄마역할 구축 = 59
  • 10) 관계 구축하기 = 61
  • 11) 개인적 변화 = 62
  • 12) 사회적 변화 = 66
  • 13) 나만의 모성 형성 = 68
  • 2. 축코딩: 근거이론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 분석 = 70
  • 1)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 = 73
  • 2) 현상(phenomenon) = 73
  • 3)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 = 74
  • 4)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 = 75
  • 5) 작용/상호작용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y = 75
  • 6) 결과(consequence) = 76
  • 3. 선택코딩: 개별적 모성 형성 과정에서의 인식전환 단계분석 = 79
  • 1) 핵심범주 = 79
  • 2) 단계분석 = 80
  • V. 요약, 논의 및 결론 = 83
  • 1. 요약 = 83
  • 2. 논의 및 결론 = 8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428 24 기타 PubMed를 중심으로 비교한 국내 의학데이터베이스의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 김현지, 남서진 2018  116
    3427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342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
    3425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342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3423 9 보건의료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비교 / 이선정, 이수범 2016  117
    34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7
    3421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3420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3419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3418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7
    3417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416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
    3415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7
    3414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
    3413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3412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7
    3411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7
    3410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3409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