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4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72019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저자 최은숙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성경숙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2015.12

발행국 강원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간호사, 생명의료윤리, 연명치료중단, Nurses, biomedical ethic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소장기관 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확고한 의식은 연명치료중단과 의료현장 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생명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간호사들의 바람직한 생명윤리관 확립을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인 가치관 설문지를 권선주(2003)가 수정하고 보완한 49문항의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인간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박계선(2000)에 의해 개발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변은경 등(2003)이 수정하고 보완한 19문항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긍정적인 입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Cronbach's α = .73였고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에서는 Cronbach's α= .81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5일부터 9월 15일까지 였으며, Y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에 동의하는 자로, 배부된 250부 중 230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를 하였으며,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1. 연령에서는 29세 이하가 51.3%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에서는 미혼이 62.2%, 학력에서는 4년제 간호대학이 70.9%, 근무경력에서는 1년에서 10년 미만이 45.2%, 근무 부서에서는 병동이 59.6%, 직위에서는 일반 간호사가 91.7%이었으며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다 63.9%, 종교생활 참여정도 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가 26.5%, 윤리적 가치관에서는 가끔 혼동된다가 46.1%, 생명의료윤리 교육 받은 경험에서는 없다가 75.2% 이었다. 2.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 평점은 4점 만점을 기준으로 3.03점,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태아의 생명권이 3.38점으로 가장 높았고, 뇌사가 2.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평균평점이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40점이었고 19개 문항의 평균점수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환자는 본인의 죽음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가 평균 4.2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회복 불가능한 환자라도 병원에 입원해 있는 경우 기본적인 투약(수액, 항생제 등)은 해주어야 한다.’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에서는 연령(F=4.67, p=.010), 결혼상태(t=-3.79, p<.001), 근무경력(F=5.23, p=.006), 종교참여도(F=3.16, p=.02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 태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역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200, p=.003). 생명의료윤리 의식 영역에서 인공임신중절(r=-.179, p=.007), 안락사(r=-.418, p<.001), 신생아생명권(r=-.383, p<.0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간호사들의 의식은 높은 편이였으며 연명치료중단 태도와의 관련성을 볼 때, 전체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올바른 윤리관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선행적인 연구가 부족하였으므로 반복 연구와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별 갈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간호사는 간호제공자로서 연명치료중단 결정 과정에서 적절한 중재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질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배경
1. 생명의료윤리의식
2. 연명치료중단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설계
2. 윤리적 고려
3. 연구대상
4. 연구도구 
5.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6.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
5.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 태도와의 상관관계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8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1
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69
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80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79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8
78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2016  593
7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7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0
75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58
74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7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2
71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70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5
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6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67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6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65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김성규 2014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