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Issues of Genetic Modification in Human Embryo and its Future Orientation



 저자명  : 김한나(Kim, Han-nah)  ,김성혜(Kim, Sung-Hae)  ,김소윤(Kim, So-Yoon)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 Vol.23 No.2 [2015]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211-224(1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5년

 등재정보 : KCI등재

 주제어
맞춤형 아기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  ,유전자 편집  ,미토콘드리아 대체  ,법적 · 의학적 · 사회적 함의  ,Designed baby  ,germline gene therapy  ,gene editing  ,mitochondrial replacement  ,legal  ,medical and social implications 


 판매처
(주)누리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germline gene therapy) 에 관련된 최신 연구 및 국제 법제 동향을 분석하고 의학적 · 법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을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를 금지해왔는데, 이는 인간배아 내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는 배아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가 성공하면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현실화 가능성이 열려지고,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해서도 최근 영국이 기술의 허용을 합법화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연구 규제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영국을 제외한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는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한 연구는 금지하고 있다. 연구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유전자 편집 연구도 마찬가지이나 유전자 편집 연구는 규범의 강제성이 국가마다 상이할 뿐 아니라 관련 규정도 모호하여, 완벽하게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지는 못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중국 사례를 보듯이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 연구는 아직까지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고, 인간 복제나 자원 분배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헌법재판소 판결에서 배아에 대한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최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은 유전자 치료 및 유전자 치료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재검토를 통하여 포괄성 내지 일관성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4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1147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1146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1145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1
1144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1
114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1
1142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
1141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1140 1 윤리학 산업형 농업 시대의 동물윤리 / 김명식 2014  111
113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1
1138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1137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11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0
1135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2018  110
113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10
1133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1132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131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1130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1129 12 낙태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최규진 2018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