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Issues of Genetic Modification in Human Embryo and its Future Orientation



 저자명  : 김한나(Kim, Han-nah)  ,김성혜(Kim, Sung-Hae)  ,김소윤(Kim, So-Yoon)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 Vol.23 No.2 [2015]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211-224(1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5년

 등재정보 : KCI등재

 주제어
맞춤형 아기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  ,유전자 편집  ,미토콘드리아 대체  ,법적 · 의학적 · 사회적 함의  ,Designed baby  ,germline gene therapy  ,gene editing  ,mitochondrial replacement  ,legal  ,medical and social implications 


 판매처
(주)누리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germline gene therapy) 에 관련된 최신 연구 및 국제 법제 동향을 분석하고 의학적 · 법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을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를 금지해왔는데, 이는 인간배아 내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는 배아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가 성공하면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현실화 가능성이 열려지고,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해서도 최근 영국이 기술의 허용을 합법화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연구 규제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영국을 제외한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는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한 연구는 금지하고 있다. 연구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유전자 편집 연구도 마찬가지이나 유전자 편집 연구는 규범의 강제성이 국가마다 상이할 뿐 아니라 관련 규정도 모호하여, 완벽하게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지는 못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중국 사례를 보듯이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 연구는 아직까지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고, 인간 복제나 자원 분배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헌법재판소 판결에서 배아에 대한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최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은 유전자 치료 및 유전자 치료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재검토를 통하여 포괄성 내지 일관성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발행년 2004 

  • 조회 수 1634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발행년 2003 

  • 조회 수 16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23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발행년 2009 

  • 조회 수 1584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70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6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155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2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5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발행년 2013 

  • 조회 수 1549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42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37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35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32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3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발행년 2011 

  • 조회 수 150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02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0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발행년 2019 

  • 조회 수 149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발행년 2011 

  • 조회 수 1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