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比較私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591050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Babyklappe und vertrauliche Geburt in Deutschland


- 제어번호 101591050

- 저자명 신동현(Shin, Dong-Hyeon) 

- 학술지명 比較私法

- 권호사항 Vol.22 No.4 [2015] 

- 발행처 :한국비교사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65-1800(-6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 판매처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극복할 수 없는 사정으로 인하여 자녀의 양육을 원하지 않는 임신여성이 그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독일에서 활용되어 온 대안은 익명으로 아이를 위탁하는 것(anonyme Kindesabgabe)이었다. 익명위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익명인도(anonyme Übergabe)와 익명출산(anonyme Geburt) 및 베이비박스(Babyklappe)의 이용이 있다. 그러나, 특히 베 이비박스에 아이를 넣는 것이나 익명출산 등의 증가는 독일의 법질서와 윤리적인 측면에서 그 적법성 및 정당성을 놓고 극심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에 독일은 독일윤리위원회 (Deutscher Ethikrat)의 검토 및 권고(Empfehlungen)와 독일청소년연구소(DJI)의 조사결과 등을 바탕으로,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출산 및 아이의 위탁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제도화하기 위하여 2013년에 비밀출산(vertrauliche Geburt)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제도 (비밀출산법제)를 도입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는, ‘비밀출산법’(SchwHiAusbauG)을 제정하게 되었고, 이 법률은 2014년 5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률의 주요 목적은 임신여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함과 동시에 비밀출산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이는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Schwangerschaftskonflikten)에 놓여있는 임신여성의 익명성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아이의 출생의 기원을 알 권리(das Recht auf Kenntnis der Abstammung) 역시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임신여성과 아이의 권리를 모두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와 같이 독일은,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에 빠진 임신여성들에게 베이비박스 등보다 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상담(Beratung)제도와 비밀출산제도를 실시 및 운영함으로써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대체하고, 나아가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자연적으로 소멸 내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베이비박스와 관련된 독일에서의 상황과 그 대처방법은, 베 이비박스가 새로이 등장하여 최근 뜨거운 논란이 제기되기 시작한 우리나라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일정 부분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한다





- 목차


Ⅰ. 들어가며

  • Ⅱ. 베이비박스 등의 현황과 그에 관한 논란

  • Ⅲ. 비밀출산제도의 도입과 그 주요내용

  • Ⅳ. 비밀출산제도의 전망과 베이비박스 등에의 영향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28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2012  899
    327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32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3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0
    324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0
    323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1
    32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3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2019  914
    »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2015  917
    319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전방욱 2018  927
    31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31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0
    316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 김태형 2001  933
    315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2014  934
    314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313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312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0
    31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310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2014  947
    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