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유럽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67697 


제목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


영문명 A study on anonymous childbirth in France
저자 이지은 ( Ji Eun Lee )
학술지명 유럽연구(The journal of contemporary European studies)
권호사항 Vol.33No.1[2015]
발행처 한국유럽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1-202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
주제어 비밀출산,모성 보호,친생모의 인적 정보,친자관계,출생정보접근권,anonymous childbirth,protection for motherhood,identity of mother,notification of birth child`s right to identity




초록 

프랑스의 비밀출산제도는 출생시로부터 친생모와 그 자녀의 친자관계가 단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출산사실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친생모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는 비밀출산제도는 프랑스에서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아동 유기에 대한 대처는 국가별로 다양하지만 프랑스는 베이비박스를 금지하는 대신 국가가 공식적으로 비밀출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가진다. 모의결정에 따라 친자관계의 단절이 인정되고 출생정보에 접근할 자녀의 알 권리가 침해된다는 점에서 윤리적 측면에서의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심도 여전히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밀출산제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가 여성의 자기결정권이나 모성 보호 및 신생아의 생명 보호를 위해 기능하고 있다는 견해가 우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의 비밀출산제도는 오랜 역사를 통하여 합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자체에 대한 찬반논의를 비롯한 다양한 쟁점을 끊임없이 생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프랑스는 비밀출산의 권리를 제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후 제도적 비판에 대응하여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자녀가 가지는 ‘출생근원에 대한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심의위원회를 설치하고 , 위원회를 중심으로 비밀출산을 한 여성들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우리의 현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며, 프랑스의 현행 비밀출산제도는 친생모, 신생아, 출생정보를 얻고자 하는 자녀의 다양하고 상반된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조화시키고 있다고 평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2018  210
2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27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6
26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25 18 인체실험 만성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금전적 보상에 대한 태도와 참여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6  78
24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23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2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 김대규 2016  454
2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20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1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18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17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4
1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29
1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5
13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1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
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김병철 2011  239
1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