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669898 

제목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문명 Effects of Social Stigma, Spirituality,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


저자 강선경(Kang, Sun Kyung)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권호사항 Vol.38No.-[2015]
발행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3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
KDC 200
주제어 Social Stigma,People Living with HIV/AIDS,삶의 질,자아존중감,Spirituality,Self-Esteem,Quality of Life,영성,HIV/AIDS 감염인,사회적 낙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IV/AIDS 감염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고,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추출한 260명으로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쉼터 및 보건소에서 관리를 받고 있는 HIV/AIDS 감염인들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 삶의 질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비교,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성보다 여성이, 종교가 없는 감염인이, 서비스업 종사자가 기타 업종 종사자들보다 사회적 낙인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보다 여성이, 종교가 있는 감염인이 영성 점수가 높게 나왔다. 셋째, 종교가 있는 감염인이,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영성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에서 사회적 낙인을 덜 느낄수록, 영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감염인들의 삶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 및 후속연구 제언을 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32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3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90
3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2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28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27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26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8
25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23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22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2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20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8
»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18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7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6
16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5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