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7304 

제목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
영문명 Feminism and the Culture of Life of the Catholic Church
저자 이연숙(Lee Yeon Sook)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6No.1[2016]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3-73
발행년도 2016
KDC 190
주제어 페미니즘,생명문화,여성인권,생명옹호 vs 선택옹호,뉴 페미니즘,Feminism,Culture of Life,Women's Right,Pro-life vs Pro-choice,New Feminism



초록 

가톨릭교회는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 · 부정적 측면 둘 다 언급한다. 교황청 신앙교리성은 「인공유산 반대 선언문」에서 "여성해방운동이 부당한 차별로부터의 해방 모색이라면, 건전한 근거위에 있다"며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긍정적 측면을 평가한다. 하지만 (페미니즘에서 말하는) "성 해방을 자녀 출산을 지향하는 부부생활의 근본 방향을 무시하며 성적 쾌락을 추구할 자유로 이해한다면, 이는 인간답지 못한 일"이라고 비판한다. 이 글은 페미니즘의 이론들과 한국에서의 페미니즘 흐름을 알아보고, 페미니즘이 생명문화에 끼친 긍정적 · 부정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며 이와 관련된 가톨릭교회 가르침을 살펴보고자 했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 인식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여성 자신의 몸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낙태 선택권, 자유로운 성 선택을 주장하기도 한다. 시험관 수정과 인간배아연구 등의 문제에서는 지배당하는 여성의 몸에 주목하고 인간 생명인 배아가 파괴되는 문제에는 침묵한다. 생명문화라는 큰 틀에서 볼 때, 페미니스트들의 활동이 일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페미니스트들이 가장 약한 생명에도 관심을 갖도록 시각 확대와 '뉴 페미니즘'이 요구된다. 또한 교회 생명운동 단체들이 인간생명수호 활동에 미온적인 교회 여성운동 단체와 연대할 것을 제안한다. 자연출산조절법(배란법)이 페미니즘 요소를 담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켜 보급할 것도 제안한다. 그렇게 할 때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페미니즘 흐름
Ⅲ. 페미니즘이 생명문화에 끼친 영향
Ⅳ. 페미니즘 입장과 관련한 가톨릭교회 가르침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20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19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18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17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16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15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6
14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13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11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10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9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9
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7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6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4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3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2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