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57 


제목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
영문명 Reflection of female perspectives on an emergency contraceptive pill
저자 유혜숙(Yu, Hae Sook)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5No.2[2015]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5-56
발행년도 2015
KDC 190
주제어 oral contraceptive pill,morning after pill,postcoital contraception,emergency contraceptive pill,낙태,birth control pill,contraception,abortion,피임,응급피임약,사후피임약,사전피임약




초록 

응급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유지하느냐 아니면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하느냐, 그 결정을 앞둔 시점에서, 본고는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여고생들, 대학생들, 일반 미혼여성들, 미혼모들이 응급피임약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어 응급피임약에 대한 여성적 관점을, 주로 일반의약품 전환에 찬성하는 여성 전문가들의 입장에 비추어 고찰하였다. 여성 전문가들이 응급피임약을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하는 데 찬성하는 논리적 근거로, 여성의 재생산권, 임신종결권, 낙태권, 자기결정권, 선택옹호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명권 대 자기결정권, 생명옹호론 대 선택 옹호론의 이분법적 대립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다초점 정책의 원리를 소개하였다. 또한 실천적 제안으로 여성 전문가들이 응급피임약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강조하면서 응급피임약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제안하고, 응급피임약의 접근성을 강조하면서 일반의약품 전환을 제안하는 것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여성 전문가들의 과제와 가톨릭교회의 과제를 함께 모색하였다. 논리적 근거에 대한 과제로 여성계는 여성의 재생산권, 임신종결권, 낙태권, 자기결정권, 선택옹호론을 주장하기에 앞서 정자와 난자가 만날 때부터 인간이며 생명이라는 이론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해야 하고, 가톨릭교회는 이 이론을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논거를 통해 제시하면서 여성계를 비롯한 관련된 모든 이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실천적 제안에 대한 과제로 여성계는 응급피임약의 위험성과 부작용, 접근성이 용이해질 때 파생될 수 있는 제 문제도 인식하면서, 과연 일반의약품 전환이 필요불가결한 것인가에 대한 깊이 있는 숙고를 해야 하고, 가톨릭교회는 임신과 출산, 양육과 교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늘의 세대에게 단죄나 죄의식을 심어주기보다는 이해와 배려의 자세로 다가가면서 출산환경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응급피임약 대란 미혼 여성들의 인식과 태도
Ⅲ. 응급피임약에 대한 여성 전문가들의 인식과 제안
Ⅳ.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과 과제
Ⅴ.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45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44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43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2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41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09
4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3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2010  601
»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37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3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3
34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2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5
3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30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2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28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27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