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384422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



정대성 ( Daesung Jeong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8권4호 (2015), pp.442-456




한국어 초록

  •    의료윤리를 위협하는 일련의 사건들은 의사-환자 관계의 고찰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고는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의사-환자 관계를 조명한다. 그리고 의사로서의 직업윤리 준수를 위협하는사회의 구조적 측면에 대해서 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의사-환자 관계는 본질적으로 ‘나와 그것’의 관계가 아니라 ‘나와 너’의 관계이다. 그리고 질병이란 실존적 위기와 고난 상황에 대하여 정신의주체인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대응 방식의 하나임을 의학적 인간학은 규명한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체의 지위를 부여해야 하며 환원주의적 병인론의 한계가 지적되어야 한다. 환자는 인간, 즉 더 높은 가치를 지향하는 세계 개방적 존재인 인격으로 대우되어야 한다. 그리고 환자는 실존적 지향성을 지닌인간으로 대우되어야 하며, 의사-환자 관계는 사랑의 공동체가 되기 위해 신뢰와 배려의 덕이 요구된다. 한편 의사와 환자는 모두 습관적 의식에 대해 반성하고 경향성을 초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들 모두 의지의 자유를 지닌 존엄한 이성적 존재자로서 대우되어야 한다. 또한 의사와 환자는 자신의태도를 정언명법에 비추어 반성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은 불가해한 존재이므로 인간에 대한 경외심을잃어서는 안 되며, 감성적 동기가 도덕적 동기를 지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회윤리적 차원에서 실적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의료윤리를 훼손하지 않도록 관련된 사회 구조적 문제점을 밝혀내 개선해야 한다. 질병의 치료는 심신상관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 즉 의학은 인간을지속적 의미 생산의 주체이자 심신상관체로 바라보는 새로운 차원을 열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이제 의사는 환자의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까지 진단하여 치료에 활용하는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의사는 기계가 아닌 인간을 마주하는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혁신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실존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인격적 특질에 다가가야 한다. 환자의 인격을 이해하는 궁극적인 방법은 사랑이다.
  • 키워드
  • 의사-환자 관계, 인간 존엄성, 사회윤리, 심신상관성, 인격, 직업윤리, doctor-patient relations, human dignity, social ethic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oul, character, vocational ethic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1
    26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2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24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23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8
    22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21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18
    20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19 1 윤리학 연구논문 : 약관의 설명의무의 대상 및 면제범위에 관한 판례의 입장에 대한 소고 / 김원규 2016  236
    18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17 22 동물복지 동물관련 법제의 입법과정에 관한 일고찰: 지각적 존재(sentient beings)와 업(業, karma)을 기준으로/조원용 2016  389
    »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15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14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13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1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0
    10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