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424419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



손보미 ( Bo Mee Son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9권1호 (2016), pp.87-97




한국어 초록

  •    이 글은 우리사회의 의료적 결정에 개입할 수 있는 윤리 원칙과 원리가 지향하는 근원적 가치와 이의 실천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biomedical ethics), 유학관점의유학 생명윤리(confucian bioethics)와 기독교ㆍ가톨릭 관점의 인격주의 생명윤리(personalist bioethics) 를 선정하여 세 체계가 제안하는 원칙과 중심 원리를 고찰하여, 의료적 결정에서 목적하는 근원적 가치를 추출함과 동시에 근원적 가치가 목적하는 바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은 무엇인지 규명해 보았다. 먼저,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가 제시하는 네 원칙은 인권존중과 인간존엄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자율성 존중``, ``선행``, ``악행금지``, ``정의``를 통하여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인권존중과 인간존엄에 있음을, 이 원칙이 태동한 역사적 배경인 벨몬트 보고서 등에서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유학 생명윤리 체계의 구성 원리는 [타인에 대한]의무로서 덕과 덕의 실천이었다. 타인에 대한 의무로서 덕을인지하고, 덕을 실천하는 행위는 사회 내에서 인간존엄과 인권존중 행위의 기초를 이룰 수 있다. 세 번째, 인격주의 생명윤리 체계에서 제일 원리는 신체적 생명존중의 원리이다. 이 원리는 의료적 결정에서 존재론적 인격지위를 가지고, 영혼과 신체의 단일체인 인간에게 적용되는 제일의 원리이다. 이상고찰한 바를 종합하면 세 체계가 용어의 사용과 표현방식에서는 상이하나, 의료윤리 및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제시하는 원칙과 원리가 목적하는 근원적 가치는 인간존엄과 인권존중으로 수렴할 수 있다. 세체계가 지향하는 근원적 가치가 이러하다면, 상이한 용어와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실천적 적용에대한 논의 이전에, 우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실천해야하는 것은 개인의 존재형태인 신체적 생명을 보호하는 실천 행위임은 자명해진다.


  • 키워드

  •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유학윤리, 인격주의, 의료적 결정, biomedical ethics, confucian bioethics, personalist bioethics, confucian ethics, personalism, medical decision-makin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028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2
    4027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402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402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2017  82
    4024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4023 1 윤리학 미국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2017  82
    4022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2018  82
    4021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2
    4020 9 보건의료 한의의료행위와 법적 문제 / 김형선 2018  82
    4019 7 의료사회학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 지표 개발 연구 / 이영미 2018  82
    4018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2
    401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2
    4016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4015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4014 2 생명윤리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김문정 2016  82
    4013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83
    4012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olden Syrian hamster related to human diseases by using CRISPR/Cas9 system / 이재익 2015  83
    401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4010 18 인체실험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임상시험과 피험자보호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14  83
    400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2017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