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고려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76057 

제목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

영문명

Domestic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Nagoya Protocol

저자

박원석

학술지명

고려법학

권호사항

Vol.68No.-[2013]

발행처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7-493

발행년도

2013

KDC

300

주제어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생물유전자원,genetic resources,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Access and Benefit Sharing,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점검기관,Check Point

초록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는 생물다양성협약의 3개 목적 중 하나인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자원제공국과 이용국이 공정하고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

채택되었다. 지금까지는 외국의 유용한 유전자원을 마음대로 사용하던 것을 이제는 사전에 통보하여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고, 이익에 대하여는 분할방법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의 이행사항을

보고하고 입증할 방법을 제시하고, 기술이전이나 지적재산권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하여 합의

하여야 한다. 국가도 외국의 생물유전자원을 국내로 반입하는 경우 원산지국의 PIC을 받았는지,

이익의 공유방법이나 절차 등을 위한 상호합의조건(mutually agreed terms, 이하 MAT)을 규정한

계약을 체결하였는가를 확인할 의무를 부담함. 또한 생물유전자원이 국내에서 연구, 개발되어

상품화되는 경우 그 이용사항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법률적 절차를 마련하여야 한다.

의정서는 생물유전자원뿐만 아니라 관련 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의 이용에 대하여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전통지식이 아니라 생물 유전자원과 관련이 있어야 하고, 지역토착민사회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 이하 ILC)가 보유하고 있는 전통지식에 한정된다. 우리나라는

  의정서의 법적 확실성 및 명확성 결여로 향후 엄청난 분쟁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부간 후속

회의 등을 통하여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초록



In October 2010,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as adopted in Nagoya,

Japan, to fulfill one of the thre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Although any

person or entity had been, so far, at liberty to exploit the genetic resourc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other

 countries, this Protocol mandates it to obtain the prior informed consent, establish the mutually agreed

terms, report and verify its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agree upon the appropriate transfer of

relevant technolog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arties to the Protocol also are obliged to confirm

the obtention of PIC from country of origin of imported genetic resources or from provider country of

such resource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MAT. Furthermore, they are under obligation to establish

legal systems to properly and effectively monitor the utilization of foreign genetic resources when such

 resources ar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subsequent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Protocol also regulates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which a

re held by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ILC). It is notable to confirm the limited scope of such TK.

 It is urgent for Korea to formulate implementation strategies through subsequent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Nagoya Protocol to counteract with future enormous disputes which would arise out of

lack of legal certainty and clarity inherent in the Protoco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88 5 과학 기술 사회 헬스케어 클라우드 동향과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개발 사업 / 최종수 외 2018  259
188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상하 외 2018  259
1886 9 보건의료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 정정임 2019  259
1885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0
188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임수정 2014  260
188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882 5 과학 기술 사회 법적 논증과 관련한 인공지능연구의 현황/김성룡 2011  260
1881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
188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187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187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0
1877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1876 12 낙태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전명희 외 2018  260
187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1
1874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1873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1872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1871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1870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86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