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環境法 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52198 
제목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
영문명A Study on the Danish Policy and Legislative Issues Towards Implementing the Nagoya Protocol
저자오선영 ( Sun Young Oh )
학술지명環境法 硏究
권호사항Vol.35No.2[2013]
발행처한국환경법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71-297
언어Korean
발행년도2013
주제어


나고야의정서,국내이행,덴마크법 초안,그린란드 자치령 특별법,보고제도,조사허가증,상업허가증,Nagoya Protocol,Domestic Implementation,Danish Draft Bill,Greenland Home Rule Parliament,Reporting,Survey Licence,Commercial Licence

초록



생물다양성협약의 주요 목적인 생물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한 이익에 대한 공평한 공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이하, 나고야의정서)”가 채택되었다. 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 접근 (Access obligation), 이익공유(Benefit-sharing), 의무준수(Compliance)를 세 가지 주요 의무로 규정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을 포함하여 이와 연관된 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의 이용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해 사전통보승인(prior informed consent, PIC)과 사용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계약, 즉 상호합의조건(mutually agreed terms, MAT)의 체결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나고야의정서 자체에 불명확한 내용들이 많고 주요조항들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유전자원 제공국들과 이용국들 사이의 해석차이가 크고 이로 인해 당사국간의 이행에 향후 적지 않은 갈등이 예상된다. 특히,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로부터 유전자원을 도입하여 이용하는 국내 관련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많기 때문에 의정서 채택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 및 피해가 예상되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의 설치” 의무에 대한 관련 조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국내입법 및 규제조치가 국제법규에 순응하고 더불어 국가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의무준수의 대상범위 및 이행방법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점검기관의 설치 방향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유전자원이 이용되고 있는 관할권의 당사국(유전자원 이용국)은 그러한 유전자원 이용을 위한 PIC 취득과 MAT 체결이 유효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는 수준의 적절하고 효과적이며 비례적인 입법, 행정 또는 정책조치를 취하면 된다. 이러한 의무준수를 이행하기 위한 방법은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면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에 접근하여 이를 국내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자국민,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 모니터링 이상으로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해외 유전자원의 이용을 적극 권장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점검기관의 설치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점검기관은 해외 유전자원에 접근하여 이를 국내에 들여와 이용하는 자국민, 기업 또는 연구기관과 유전자원 제공자의 PIC 취득과 MAT 체결 이행 문제를 다루고 있다.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나고야의정서 채택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 및 피해가 예상되어 철저한 준비가 시급한 상황이며 이에 점검기관의 역할을 축소 시킬 필요가 있다. 사인간의 계약을 국가가 보장할 필요가 없고, 유전자원 이용을 권장하기 위해서는 점검기관이 반드시 모니터링해야 하는 내용을 최소한으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록



In order to air and eq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out of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Nagoya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as adopted at the T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on October 29, 2010. In its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nmark declared that it would not request prior consent for collecting genetic resources in Denmark by showing the draft bill on sharing benefi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reporting system is introduced for the collection of genetic resources from wild species. In addition, the bill ensure that the genetic resources are not used in contravention of legislation in the countries from which they originate. The Greenland has separate legislation, and in order to access the biological resources within the Greenland, the user shall get the “survey licence,” and later the “commercial licence” if the user wants to get rights to commercial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survey results. The Danish government also requires the disclosure of the origin of the biological resources in application of the Patents, but it is not the obligation to be granted. The Danish policy and legislative issues towards implementing the Nagoya Protocol give important implications on our government`s policy and legislative plann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goya Protocol. It would be useful to use the reporting system for the domestic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from other countries, and licence system for the carrying domestic genetic resources out overseas. Importantly, we need to find out how to prevent dissonance in government departments having a stake in the Nagoya Protocol implement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028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1027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1026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1025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1024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1023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1022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102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1020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
1019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4
1018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4
10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1016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101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1014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정민수 외 2014  104
1013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1012 23 연구윤리 초등교사의 과학연구윤리 의식과 과학전람회 지도 과정에서 과학연구윤리 준수 실태 조사 / 남경선 2017  104
101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4
101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1009 2 생명윤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백지연 201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