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제경제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4674 
제목EU법상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및 시사점
저자김두수
학술지명국제경제법연구
권호사항Vol.12No.3[2014]
발행처한국국제경제법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15-144
언어Korean
발행년도2014
주제어



Nagoya Protocol, European Union, Regulation 511/2014/EU, Access and Benefit- sharing(ABS), traditional knowledge, prior informed consent(PIC), mutually agreed terms(MAT), Model contractual clauses, competent authorities, checkpoints, 나고야의정서, 유럽연합, 규칙 511/2014/EU,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 전통지식, 사전통보승인, 상호합의조건, 표준계약서, 국가책임기관, 점검기관

초록



“생물다양성협약 부속의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그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가 2010년 10월 29일 채택되었고, 동 의정서 제33조 1항에 따라 50번째 국가 비준 후 90일 째인 2014년 10월 12일 발효되었다. EU는 2014년 4월 16일 나고야의정서 역내 이행입법인 규칙 511/2014/EU 를 채택되었으며, 동년 5월 16일 최종 승인하였다. 동 규칙은 나고야의정서에 따라 유전자원 및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관한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하여 규율 하고 있으며, 그 목적은 생물다양성협약에 따라 유전자원 및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의 지속가능한 사용과 생 물다양성보존에 기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동 규칙은 국가주권 이원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생물다양성협 약 범위 내의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적용된다. 또한 동 규칙은 사전통보승인(PIC) 및 상호합의조건(MAT) 에 따라 규율되고 운영되며 유전자원 및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의 이용자에게 일정한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회원국들은 관할기관을 통하여 이용자 준수사항을 모니터링하는 등의 책임기관과 점검기관으로서의 역 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집행위원회는 유전자원 관련 정보수집을 위한 유전자원신탁등록처를 설 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동 규칙은 전반적으로 유전자원 이용국의 이익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방향으로 제정되었으며, 특히 유전자 원의 적용대상에 파생물을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익공유의 대상에 후속적 적용 및 상업화의 누락, 사전통 보승인(PIC)와 상호합의조건(MAT)의 대상이 되는 유전자원을 나고야의정서 발효 후 취득된 것에 한정, 이용 자의 준수내용을 적절주의의무로 규정, 처벌의 범위를 단순 벌금 등에 한정하여 규정하고 있다.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되어 각국이 가진 생물학적 자원에 대한 권리가 강화되어 특허 취득이 까다로워지거나  이미 획득한 특허도 취소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나고야의정서의 핵심 구성요소에는 사전통보승인(PIC),  상호합의조건(MAT)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 이행법률의 제정  방향은 한편으로는 국내 생물유전자원을 보호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 국내 관련 제약업계, 화장품업계, (기 능성)건강식품업계, 바이오산업 등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제정되어야 한다.

초록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dopted on 29 October 2010 will enter  into force, by virtue of Article 33(1) of the Protocol, on 12 October 2014. The European Union approved  the Nagoya Protocol on 16 May 2014. Regulation 511/2014 establishes rules governing compliance with access and benefit-sharing for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Nagoya Protocol. Its implement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sustainable use of its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is Regulation applies to genetic resources over which States exercise sovereign  rights and to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within the scope of the Convention,  which are accessed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agoya Protocol for the Union. Traditional knowledge  includes knowledge, innovations and practices, of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 embodying traditional  lifestyles, relevant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diversity. The Regulation stipulates that all users of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should exercise due diligence to ascertain whether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have been accessed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legal or  regulatory requirements and to ensure that benefits are fairly and equitably shared upon mutually agreed  terms. In that context, competent authorities should accept internationally-recognised certificates of  compliance as evidence that the genetic resources covered were legally accessed and that mutually  agreed terms were established for the user and the utilization specified therein. Each Member State shall designate one or more competent authorities to be responsible for the  application of this Regulation. The competent authorities shall carry out checks to verify whether users  comply with their obligations. In doing so, they should consider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recognised  best practice for access and benefit sharing by a user reduces that user’s risk of non-compliance. The  competent authorities shall keep, for at least five years, records of the checks. The European Commission shall make public, including via the internet, a list of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Member States. In addition, it shall establish a register of collections of genetic resources within the  Union which is internet-based and easily accessible to users. This Regulation was enacted overall in order to protect the best interests of the users of genetic  resources, specially excluding derivatives, subsequent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the  Regulation apply to the genetic resources which was accessed and utilized after the Nagoya Protocol  goes into effect.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agoty Protocol, the countries have the right to  biological resources with enhanced. Therefore, Republic of Korea's access and benefit-sharing(ABS)  legislation governing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needs to be low impact in the fields of bio industry, cosmetics, pharmaceutical industry, and health food  industry.

목차



Ⅰ. 서언
Ⅱ. 나고야의정서 이행 입법상의 쟁점 분석
 
1. 규칙 511/2014/EU의 채택 배경
 
2. 규칙 511/2014/EU의 주요 쟁점 사항

Ⅲ. 나고야의정서 이행 입법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Ⅳ. 결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28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4
1027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1026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4
102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1024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04
1023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4
10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1021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1020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1019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1018 23 연구윤리 초등교사의 과학연구윤리 의식과 과학전람회 지도 과정에서 과학연구윤리 준수 실태 조사 / 남경선 2017  104
101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1016 2 생명윤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백지연 2017  104
101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101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013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3
1012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2013  103
101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2015  103
1010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3
1009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