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13482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

The Constitutional Study of a Right to Health as a Dynamic Human Right for building a Welfare State
박종현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등재정보 : KCI등재작성언어 : 한국어파일형식 : TextPDFKORMARC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13482




한국어 초록

보건권을 명시하는 헌법규정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헌법학자들은 헌법상 보건권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근거규정으로는 다양한 헌법규정이 제시되지만, 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건보호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36조 제3항의 해석상 의무에서 구체적인 권리가 대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근거규정이 될 수 있다. 특히 기타의 국가의무조항들과 달리 국민이 보건에 대한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고 표현한 이 조항은 국민이 국가의 보건보호를 받을 응당한 자격이 있고 헌법상 청구권이 있음을 드러낸다고 해석가능하다. 보건권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사회권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인데, 사회권에 대한 현재의 논의에 따르면 사회권은 입법 등 국가의 개입이 있어야 비로소 권리로 인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보건권이 사회권으로 분류되고 권리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은 헌법상 권리 혹은 인권을 소극적인 성격의 자유권과 적극적인 성격의 사회권으로 구분하는 기존의 논의 틀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복지국가 시대에 복지의 문제를 순전히 정책의 문제로 취급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그 문제를 시민의 권리실현의 문제로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사회권에 온전한 권리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사회권은 평등한 자유권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사회적 전제의 마련을 위해서 반드시 보장되지 않으면 안 되는 권리로 이해될 수 있다는 논의에 따르면 사회권에 대한 기존의 차별적 접근은 수용되기 어렵다. 욕구이론이나 역랑이론과 같이 인권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서는 심지어 사회권의 실천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자기 개발을 위해 자유권보다 선결되어야 할 문제가 된다. 사회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틀에서 보건권 역시 온전한 권리성을 누리며 국가가 최대한 보장해야 하는 보편적 인권의 일종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헌법상의 권리도 사회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토의를 통한 포함·배제의 재구성을 겪게 되는데 복지국가원리가 우리 헌법의 기본원리로 인정되고 복지가 최상의 사회적 아젠다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국민의 복지에 핵심적인 보건에 대한 권리를 구체화하고 실천하는 작업은 중요한 헌법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사회적 요청에 따라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보건권의 내용을 온전하게 실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요구사항일 수 있지만 실현가능한 최상의 건강상태를 누리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 구현을 위한 핵심적 요청사항이라는 점에서 보건권의 위상을 인정하고 그의 실현을 최대한 구현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보건권의 헌법적 근거
Ⅲ. 보건권의 권리성
Ⅳ. 나오며 : 보건권 구체화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23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2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20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1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16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29
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13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2
12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11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9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7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6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5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