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07093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철학논총 제76집, 2014.4, 573-593 (21 pages)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 공학윤리적 관점에서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Professional Ethics - From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Ethics -
이재숭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07093



  •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후쿠시마원전사고와 관련해 공학윤리적 관점에서 이 사고를 성찰한 후, 엔지니어들의 공공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의 결여가 이 사고의 주요한 한 원인이었음을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건설 당시 현실적인 지진 및 쓰나미 설계 기준이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공학적으로 부적절한 설계였음이 사고 후 조사에서 드러났다. 또한 안전과 관련한 중요한 의사결정들이 최상의 지식에 근거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세계 각국의 원전에서 얻어진 사고 및 운전 경험과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반영하지 않은 채 자신들이 원전의 최고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막연한 믿음과 자만에 근거해서 원전을 운영해왔다. 그리고 원전 관리와 운영을 맡고 있는‘원전패거리’라 불리는 일부 원전 관련자들의 부정적인 인적네트워크에 의한 비리들은 이 사고가 단순한 공학적 결함만이 아니라 인간에 의한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발생한 전형적인 인재라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ABEEK의 KEC2005와 JABEE가 요구하는 공학인증을 위한 학습성과들, 그리고 전문가 윤리헌장들을 후쿠시마원전사고에 적용해 이 사고의 인적 요인을 드러내고, 전문가로서 엔지니어들의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의 중요성을 드러낼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후쿠시마원전사고에 공학윤리 문제해결 기법인 세븐스텝가이드를 적용해서 이 사고에 대한 분석과 비판, 그리고 대안적인 윤리적 행동이 제시된다.

                                             

    목차

    [한글 요약]
    1. 서론
    2. 후쿠시마원전사고의 원인과 특징
    3. KEC 2005와 JABEE 인증기준
    4. 윤리헌장과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
    5. 세븐스텝가이드를 적용한 윤리문제의 분석과 해결
    6. 결론; 우리의 원전 상황과 관련한 후쿠시마의 교훈
    참고문헌
    [Aba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88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8
    88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88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885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884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883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882 14 재생산 기술 비혼인동거자 사이의 인공수정과 그 법률관계 / 김민규 2012  470
    881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70
    880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879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2014  470
    87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70
    8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876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1
    87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874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송승현 2016  471
    873 5 과학 기술 사회 ‘약한’ 인공지능과 ‘강한’ 인공지능의 구별의 문제 / 김진석 2017  471
    872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87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2
    87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869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대한 제언 : 국내외 인증기준 상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실질적 방안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