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층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17596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철학논총 제73집, 2013.7, 239-258 (20 pages)

공학윤리

-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

Engineering Ethics ; A Problem-solving Approach and Moral Reasoning
이재숭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17596



  • 한국어 초록

    공학윤리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전문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 즉‘전문가적 책임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지적인 이해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문직업인으로서 공학인들에게 요구되는 사회적인 책임들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①기술 발달과 사회적 복지 사이의 복잡한 관계들을 깨닫는 것, ②엔지니어들의 전문가적 책임들과그러한책임들을 실천하기 위한규범들을 이해하는 것, ③전문가의 책임에 관해서 성숙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책임들이 제기될 때 윤리적 딜레마들을 다루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능력들의 배양을 위해 공학교육의 강조점은 기계적인 행위나 특수한 규범들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사려 깊은 윤리적 통찰과 문제해결 능력에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한 교육의 결과가 ‘윤리적 감성의 증대’, ‘행위의 기준들에 대한 지식의 증대’, ‘윤리적 판단 능력의 향상’, ‘윤리적 의지력의 증대’라는네 가지 결과들을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는일반적 합의가 있다. 공학인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판단 능력과 이러한 사회적 책임으로 인해 윤리이론과 윤리강령들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 방법은 이에 더해 다양한 공학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윤리의 효율적 교수방법으로서의 사례중심의 교육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해결의 과정에 있어서 윤리 이론들과 타당한 도덕적추론에 의해 그것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공학윤리 교육에서 우리가 사례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은 쉽게 동의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곧 윤리 이론들을 무시해도 좋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윤리적 추론 능력을 결여하고 있다면 사례중심의 문제해결 방식이 아무리 효율적인 방식이라 하더라도 목적한 바를 성취하기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사례에 대한 문제해결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하나의 대안적 행동인데, 왜 그것이 대안적 행동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들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목차

    [한글요약]
    1. 들어가는 말
    2. 예방윤리로서의 공학윤리
    3. EC 2000과 KEC 2005의 인증 기준과 교육 내용
    4. 교수 방법의 경향들
    5. 보완적 교수 방법의 제언 : 도덕적 추론 능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5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1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30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33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8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4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7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3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9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2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1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4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06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