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哲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259634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哲學 제91집, 2007.5, 305-331 (27 pages)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

Engineering Ethics and Professionalism: From the Micro-level Approach to the Macro-level Approach
손화철, 송성수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Image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259634



  • 한국어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학윤리의 논의들을 크게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으로 나누어 보고, 이들 두 접근이 적절한 균형을 이룰 때 효과적인 공학윤리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먼저 l절에서 미시적-거시적 접근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2절에서는 한국에서 출간된 공학윤리 교과서들과 관련 논의의 분석을 통해 공학윤리 교육이 미시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인다. 거시적 차원의 문제들이 제기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이들을 공학자 집단이 해결해야 할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3절에서는 기술이 인간의 삶에 끼치는 엄청난 영향을 고려할 때, 또 기술철학에서 제기된 과학기술의 비중립성과 자율성에 관한 논의들을 상고할 때, 거시적 접근의 중요성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공학활동의 특정과 현대기술사회의 첨예한 경쟁 등 불가피한 여건들이 없지 않지만, 과도한 불균형과 교육의 편중 현상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4절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에 대한 관심이 더 늘어나야 할 뿐 아니라 공학자 개인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되어야 함을 밝힌다. 5절에서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학윤리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대안적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ⅰ) 윤리적 주체로서의 공학자에 대한 강조; (ⅱ) 개별 공학활동의 맥락에 대한 이해; (ⅲ) 좋은 사회에 대한 숙고; (ⅳ) 윤리적 의무와 책임의 차등적 부여; (ⅴ) 기술의 간접적 영향에 대한 이해; (ⅵ) 대안적 공학의 모색.


    목차

    【요약문】
    1. 공학윤리에서의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2. 현행 공학윤리교육의 분석
    3. 현대기술사회와 공학윤리
    4. 균형 잡힌 공학윤리교육을 향하여
    5. 구체적인 대안의 모색: 공학윤리 교육의 새로운 내용
    6. 결론: 공학적 윤리와 윤리적 공학
    【참고문헌】
    〈Abstract〉

                                             

    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08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2009  476
    3807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 민윤영 2017  475
    380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5
    3805 9 보건의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진단법의 최신 경향 및 고찰 / 이지혜 2019  474
    380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3803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대한 제언 : 국내외 인증기준 상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실질적 방안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473
    3802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3801 5 과학 기술 사회 감염병 대응 영향 요인 분석 : 사스(2003)와 메르스(2015)를 중심으로 / 이규명 2018  471
    380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1
    3799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송승현 2016  471
    379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3797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379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3795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2014  470
    3794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3793 14 재생산 기술 비혼인동거자 사이의 인공수정과 그 법률관계 / 김민규 2012  470
    3792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3791 15 유전학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김형래 2018  469
    3790 5 과학 기술 사회 ‘약한’ 인공지능과 ‘강한’ 인공지능의 구별의 문제 / 김진석 2017  469
    3789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