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哲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259634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哲學 제91집, 2007.5, 305-331 (27 pages)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

Engineering Ethics and Professionalism: From the Micro-level Approach to the Macro-level Approach
손화철, 송성수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Image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259634



  • 한국어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학윤리의 논의들을 크게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으로 나누어 보고, 이들 두 접근이 적절한 균형을 이룰 때 효과적인 공학윤리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먼저 l절에서 미시적-거시적 접근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2절에서는 한국에서 출간된 공학윤리 교과서들과 관련 논의의 분석을 통해 공학윤리 교육이 미시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인다. 거시적 차원의 문제들이 제기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이들을 공학자 집단이 해결해야 할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3절에서는 기술이 인간의 삶에 끼치는 엄청난 영향을 고려할 때, 또 기술철학에서 제기된 과학기술의 비중립성과 자율성에 관한 논의들을 상고할 때, 거시적 접근의 중요성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공학활동의 특정과 현대기술사회의 첨예한 경쟁 등 불가피한 여건들이 없지 않지만, 과도한 불균형과 교육의 편중 현상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4절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에 대한 관심이 더 늘어나야 할 뿐 아니라 공학자 개인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되어야 함을 밝힌다. 5절에서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학윤리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대안적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ⅰ) 윤리적 주체로서의 공학자에 대한 강조; (ⅱ) 개별 공학활동의 맥락에 대한 이해; (ⅲ) 좋은 사회에 대한 숙고; (ⅳ) 윤리적 의무와 책임의 차등적 부여; (ⅴ) 기술의 간접적 영향에 대한 이해; (ⅵ) 대안적 공학의 모색.


    목차

    【요약문】
    1. 공학윤리에서의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2. 현행 공학윤리교육의 분석
    3. 현대기술사회와 공학윤리
    4. 균형 잡힌 공학윤리교육을 향하여
    5. 구체적인 대안의 모색: 공학윤리 교육의 새로운 내용
    6. 결론: 공학적 윤리와 윤리적 공학
    【참고문헌】
    〈Abstract〉

                                             

    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88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를 여는 과학문화와 과학교육/김승환 2016  99
    3787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
    3786 9 보건의료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 강한철 2013  99
    3785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3784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결정 과정에서의 거버넌스 변화 연구 / 金洙興 2015  99
    3783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378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3781 1 윤리학 환자에 대한 임의비급여 진료비용 청구의 예외적 허용 / 박현민 2016  99
    3780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3779 15 유전학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 도입 효율 최적화 / 김우석 2013  99
    3778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99
    37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99
    3776 9 보건의료 의료IT융합 기술 연구 동향 / 김승환 2016  99
    377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377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책임론에 대한 고찰 / 정창록 박정식 외 2017  99
    377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99
    3772 15 유전학 생명윤리법상 유전자검사의 허용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 / 황만성 2016  99
    3771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네트워크 발전전략 연구 / 서병조 ,나성욱 2017  99
    3770 9 보건의료 HIV 감염인의 재생산권과 보조생식술 / 배현아 2014  99
    3769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