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자료 2001-05]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86276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정책자료 2001-05]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2001.11, 1-70 (70 pages)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송성수



  • 발행기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86276



  • 한국어 초록

    서론□ 과학기술의 파급효과가 커지고 부작용도 등장하면서 과학기술능력과 사회수용능력 이 동시에 발전하지 않으면 미래를 낙관할 수 없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 며, 이에 대한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음.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선진국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 되고 있음. 예를 들어 2000년에 일본에서 발간된 차기과학기술기본계획(안) 은 과 학기술인력의 양성과 과학문화의 창달 영역에서 과학기술자의 윤리 확보 및 과 학기술자의 활동에 대한 사회적 설명 을 중요한 의제로 간주하고 있음(조황희, 2000).□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나 연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된 소수의 번역서 및 에세이가 있는 정도임. 특히 1990 년대 이후에 과학기술의 역기능도 가시화되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다변화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과학기술자(집단)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청됨.□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은 과학기술윤리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 으며 과학기술자사회, 과학기술교육, 과학기술문화, 과학기술인력 등 과학기술정책 의 여러 분야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에 관한 논의 및 현황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주요 개념과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제도화 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인 과학기술자단체의 윤리강령과 대학에서의 과학기술윤리교 육에 대해 검토하고자 함. 이러한 연구는 과학기술자의 책임성을 제고하고 건전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과학기술윤리에 관한 논의1. 과학기술과 윤리1)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2) 윤리와 과학기술윤리 2 . 과학기술윤리의 역사적 맥락1) 과학기술의 제도화2) 과학기술윤리에 관한 활동의 전개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1. 전문직업으로서 과학기술1) 전문직업과 과학기술2) 과학기술의 특수성 2 . 과학기술자의 갈등과 책임1)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 : 네 가지 사례2) 과학기술자의 책임에 대한 쟁점 과학기술윤리의 제도화1. 과학기술자단체의 윤리강령2. 교과과정으로서 과학기술윤리1) 과학기술윤리교육의 위상2) 미국의 과학기술윤리교육: 공학윤리교육의 사례3) 한국의 과학기술윤리교육 결론적 고찰□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논의는 과학기술자가 자신의 활동을 사회적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 과학기술자가 단순한 직업인을 넘어 한 사회의 지식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직업이 가진 사회적·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데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논의는 과학기술에서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과학기술의 본질과 직결되어 있음. 과학기술활동과 그 결과에는 상당한 불확실성과 위험성이 내재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자는 언제든지 실수를 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Beder, 1991; Lynch and Kline, 2000). 과학기술은 인간사회의 여러 문제와 분리된 별개의 세계를 다루지 않으며 과학기술 자체가 일종의 사회적 활동이라는 확고한 인식이 필요함.□ 한국은 오랜 기간 동안 과학기술을 경제발전에 종속된 도구로 간주해 왔기 때문에 과학기술활동의 사회적·윤리적 측면에 대한 고려와 인식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 앞으로는 과학기술자, 인문사회과학자, 과학기술자단체, 언론매체, 정부 모두가 이러한 측면에 대해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관련 활동을 활성화·제도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임.□ 과학기술자단체는 회원들의 사회적 책임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윤리강령을 자체적으로 제정하고 윤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해야 할 것임.□ 관련 연구자들은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논의가 현재 한국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걸친 문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해야 할 것임.□ 이공계대학 및 의과대학을 비롯한 고등교육기관에서는 해당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윤리에 관한 교과목을 개설하고 가능하면 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하며 이를 전담해서 연구·교육하는 교수진을 확보해야 할 것임.□ 정부는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과학기술을 진흥시키는 것 이외에도 과학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조직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21세기에 들어와 과학기술이 차지하는 위상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이와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도 빈번히 발생할 것임. 과학기술과 인간사회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임. 인간에게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그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9적절히 풀어갈 수 있는 사회구성원의 태도와 능력에 있음.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4
    106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105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104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2001  67
    10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10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0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100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2
    9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98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2001  3456
    97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2001  366
    96 15 유전학 게놈 시대 인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및 사용법 / 최영님 2001  142
    95 15 유전학 게놈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 윤충효 2001  952
    94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93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3
    92 15 유전학 동물게놈 연구현황 및 산업적 활용방향 / 조병욱 2001  136
    91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의 SF적 모티프 / 듀나 2001  47
    9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제도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고현신 2001  293
    89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09
    88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