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Well-Dying on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저자  : 최은주

형태사항 :  vii, 93 p.: 삽도; 26 cm.

일반주기 :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곽한병
                참고문헌 : p.72-85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레저스포츠학과 2015. 8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주제어 :  웰다잉(Well-dying), 죽음준비교육, 여가태도, 삶의 질




[ 초록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 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네 곳의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100명과 비참여자 150명, 모두 250명을 선정하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된 죽음준비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주2회, 회기 당 90분씩, 8회기에 걸쳐서 본 연구자의 교육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Beard와 Ragheb(1982)가 개발한 여가태도척도(LAS)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척도는 최성재(1986)에 의해 개발된 ‘노인생활만족도 척도‘를 신상식(2010)이 재구성하고 임송자(201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여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태도에 대해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가태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여가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에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만족에 대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서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현재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전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여가태도에 대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가태도의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와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거차원만족도, 현재차원만족도,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은 삶의 대부분이 여가시간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치료적 접근의 여가교육으로 삶의 연장선에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과거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켜 남은 인생을 설계함에 있어 여가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여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안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의 가설 4

  • 제4절 용어의 정의 5

  • 제5절 연구의 제한점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웰다잉(Well-dying) 7

  • 제2절 죽음준비교육 19

  • 제3절 여가태도 33

  • 제4절 삶의 질 36

  • 제5절 죽음준비교육과 여가태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39

  • 제3장 연구 방법 41

  • 제1절 연구대상 41

  • 제2절 조사도구 43

  • 제3절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44

  • 제4절 자료처리방법 50

  • 제4장 결과 51

  •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1

  • 제2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55

  • 제3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9

  • 제4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60

  • 제5절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1

  • 제5장 논의 63

  • 제6장 결론 및 제언 68

  • 제1절 결론 68

  • 제2절 제언 71

  • 참고문헌 72

  • 부 록 86

  • Abstract 9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28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827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826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825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824 5 과학 기술 사회 인증시스템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 : 서베이 / 황윤철 2015  97
    823 18 인체실험 안면홍조에 대한 임상시험 참가자의 증상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 김동일 2006  97
    822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82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820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819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81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817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2018  96
    816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815 15 유전학 유전자분석을 통한 결핵약제내성검사 결과의 해석과 적용 / 전두수 2018  96
    81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813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6
    812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811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8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809 1 윤리학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김효은 2018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