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 저자  : 정운경

- 형태사항 :  viii, 18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변상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상담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웰다잉,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 소장기관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본 연구는 ‘그저 기다리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품위 있는 죽음’으로서의 웰다잉을 위해 노인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웰다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행복한 노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0시에 소재하는 A요양원에 생활 중인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1월 29일까지 거리적 제한으로 인해 격주로 1일 2회기씩 시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90~15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다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죽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변인인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매개변인인 죽음불안은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웰다잉 프로그램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죽음불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목차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3. 연구의 문제 5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웰다잉 8
  • 가. 죽음의 개념 8
  • 나. 죽음에 대한 관점 9
  • 다. 죽음 관련 이론 14
  • 라. 웰다잉의 개념 23
  • 마. 웰다잉 프로그램 25
  • 2. 한국의 웰다잉 프로그램 실제 35
  • 가.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교육 35
  • 나. 기관 및 단체의 교육 53
  • 3. 삶의 질 59
  • 가. 삶의 질 개념 59
  • 나. 삶의 질 영향요인 61
  • 4. 죽음불안 63
  • 가. 죽음불안 개념 63
  • 나.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불안 64
  • 다. 죽음불안 영향요인 67
  • 5. 자아통합감 70
  • 가. 자아통합감 개념 70
  • 나. 자아통합감 근거 성취 노년기 발달과제 72
  • 6. 선행연구 74
  • Ⅲ. 연구방법 77
  • 1. 연구대상 77
  • 2. 연구설계 77
  • 가. 실험설계 77
  • 나. 연구과정 78
  • 다. 연구모형 80
  • 3. 연구가설 81
  • 4. 프로그램 구성 81
  • 가. 프로그램 개요 81
  • 나. 프로그램 내용 82
  • 다. 회기별 프로그램 84
  • 5. 조사도구 98
  • 가. 죽음불안 99
  • 나. 삶의 질 100
  • 다. 자아통합감 100
  • 6. 자료처리 101
  • Ⅳ. 연구결과 10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03
  • 2. 동질성 검증 106
  • 가. 인구통계학적 특성 동질성 검증 106
  • 나. 삶의 질 동질성 검증 107
  • 다. 죽음불안 동질성 검증 108
  • 라. 자아통합감 동질성 검증 109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별 차이 109
  • 가. 삶의 질 109
  • 나. 죽음불안 110
  • 다. 자아통합감 111
  • 4. 가설검증 112
  • 5. 가설검증결과 122
  • 6. 대상자 배경 및 인터뷰 124
  • Ⅴ. 논의 141
  • Ⅵ. 결론 150
  • 1. 요약 150
  • 2. 제언 151
  •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연구방향 152
  • 참고문헌 153
  • ABSTRACT 168
  • 부록 17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9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3
    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7
    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2
    3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
    2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