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철학 제30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43328 



사회와 철학 제30호, 2015.10, 199-224 (26 pages)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죽음의 자유와 도덕

From Bio logical Death to Humane Death
권수현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사회와철학연구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43328


한국어 초록
죽음의 대척점에는 삶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호흡과 맥박이 완전히 멈춘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해 왔던 반면에 현재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뇌사는 뇌의 완전한 기능정지만으로도 죽음의 판정이 가능하다. 뇌사를 인정하는 이유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의미한 첨단의료기술의 개입을 중단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장기이식을 위한 신선한 장기의 공급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런 뇌사판정에는 윤리적, 법적 차원의 논쟁점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어, 지속적인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를 통해서 살펴보면서, ‘생명’과 ‘죽음’이 ‘그 자체로 본질적인’ 실체에 대한 개념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임을, 그리고 복합적 특징을 갖는 통합적 메타개념임을 밝힌다. 생명과 죽음은 개념적으로 모순대립의 성격을 가지며 서로가 서로를 배제하지만 인간의 죽음에는 뇌사와 같이 죽어가는 과정인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의 죽음은 생물학적 죽음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죽음이 생물학적 사건인 동시에 규범적 사건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에 죽음은 친숙한 자연현상이었으며 죽어가는 자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죽음은 불쾌와 혐오의 대상으로 변화하며 일종의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죽음을 극복하고 은폐하는 공간으로서 병원이 등장하여 죽음의 의료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람들은 철저히 자신의 죽음으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죽음의 존엄성을 되살리고 인간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담론이 공론장에서 활성화되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목차
[논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뇌사란 무엇인가?
Ⅲ.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
Ⅳ. 죽음의 의료화
Ⅴ. 죽음의 자기결정권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988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398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2
3985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398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3983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398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3981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398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38
3979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3978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38
3977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8
3976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38
3975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37
3974 9 보건의료 한방의료서비스의 건강보험수가 산출방법과 추정 / 김진현 2008  537
397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6
39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36
397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3970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5
3969 11 피임 북한이탈여성의 피임인식 및 피임교육의 필요성 / 한소희 2018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