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3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7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67-84 (18 pages)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

- 생명윤리안전법상 유전자검사 규율의 방향 모색

Hermeneutical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Law Legal Policy of Gene Testing in Korean Bioethics and Biosafety Act
김나경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7




  • 한국어 초록
    유전자검사가 일상화, 보편화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유전 질환과 장애 개념의 친화성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 장애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유전자검사의 확산이 장애에 대한 이해를 왜곡하는 계기가 되는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가 등장한다. 장애에 대한 이해를 왜곡하지 않는, 유전자검사에 대한 합리적인 법제화는 유전자검사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히 인식하고 장애로서의 유전 질환에 대한 온전한 이해에 기초할 때에 비로소 가능하다. 유전자검사는 분석과 해석의 이원적 구조 그리고 검사 및 검사결과가 불확정적이라는 열린 구조를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궁극적으로는 검사대상자가 검사결과의 의미를 성찰하고 자신의 삶으로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그 본질로 한다. 다른 한편 유전자검사 결과 진단 혹은 예견되는 유전 질환은 - 무엇보다 만성 또는 중증인 경우, 장애와 구별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 특히 장애의 본질적 요소로서 ‘의료적 손상’에 대한 장애학의 논의에 기초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장애학의 이해에 따른다면 ‘본질적인 해(害)-손상 주체가 생성하는 긍정적 가치-사회적 장애와의 상호작용’이라는 손상의 다층적 차원이 유전 질환에 내재해 있다. 그렇다면 유전자검사의 법제화에서는 유전자검사의 구조적 특징과 손상의 다층적 차원을 성찰하고 삶을 기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전 커뮤니케이션의 구조화가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그런데 현행 생명윤리안전법은 유전자검사의 정의에서 검사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히 드러내거나 반영하지 않고 있으며, 유전자검사결과 확정되는 유전질환에 대한 개인의 이해가 성찰과 삶의 기획의 과정이 되게 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이해가 왜곡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역시 결여하고 있다. 생명윤리안전법이 유전자검사의 정당성을 담보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분석’과 ‘해석’이라는 유전자검사의 이원적 구조를 명시화하고 이러한 정의 규정을 기초로 유전 커뮤니케이션인 ‘설명-동의’와 ‘유전상담’이 의료전문성에 기초하여 수행되도록 동법의 구체적인 규율방식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유전 상담을 치료적 행위의 한 부분으로 분명히 인식하면서 현재 결여되어 있는 유전 상담에 관한 규율을 새로이 도입하고, 동 규율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자가 유전 상담을 통해 유전질환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들을 교환하면서 성찰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유전자 검사의 본질
    Ⅲ. 유전자 검사와 장애 이해
    Ⅳ. 생명윤리안전법상 유전자검사 규율의 문제
    Ⅴ. 유전자검사 법정책의 방향 모색
    Ⅵ. 나가며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3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12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1
    11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10 17 신경과학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송해영 2016  365
    9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7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6 23 연구윤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 허유성 외 2012  234
    »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4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3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1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